반응형

2003년 맹해차창 조춘교목

 

최근 그동안의 기사를 보면서 맛에 대한 이야기에 머뭇거렸다. 2년이 지난 오늘, 대익보이차는 우리 차인들에게 무슨 맛을 제공하는가 하는 문제까지 생각하며 지난 글을 올려보게 된다. 보이차 메니아는 어떤 생각일까!

 

우리는 늘 맹해차창을 말하면서 그것이 대익보이차의 전신이었다는 사실은 모른다.

, 국영이었던 맹해차창이 민간으로 바뀌면서 대익보이차로 되었는데 필자가 놀라운 것은 아직도 서쌍판납에 있는 맹해차창의 공장 정문은 그대로 맹해차창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수많은 차창이 명멸해 왔다. 우리가 알고 있고 기록에 남아 있는 것보다 많은 차창들이

지금 나오는 신생차창도 시간과 함께 역사 속에 흘러 명멸할 것이다.

 

우리는 지금 어떤 맛을 기억하고 있는가?

어쩌면 많은 보이차 매니아들이 대익에서 맹해차창의 맛을 기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2015.01.11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제2회 보이차 전시장

 

 

보이차를 전시한다고 하면 보통 두가지로 해석하게 된다. 오래된 골동보이차인지 아니면 2000년이후 중국내 보이차 전문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을 상품별로 전시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된다.

어떤 것이 주가 되든지 대기업 제품 홍보용 전시가 아니라면 보이차라고 하는 단일 품목으로 제조회사 별로 구분하여 전시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보이생차를 전시한다고 하면 전시의 필요성이 있을까하는 의문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전시라고하면 그 대상의 내용을 정리하게 되고 시기별로 구분하게 된다. 그런 과정에 작년과 올해 두 번의 전시를 보면서 느낀 점을 잠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7년 두기차창 9대 차산 소병(250g)

 

1회 때는 두기차창의 제품을 초기부터 현재까지를 제품별로 구분하였다. 2회 전시는 2006년이 맹해차창 66주년이었다면 점에서 전시회의 상징적인 얼굴로 맹해차창 기념병으로 하였다. 여상구 전시 기획자는 맹해차창을 앞세운 이유로 개인적으로 가장 즐겨하는 보이차가 2000년 초반 맹해차창의 특별주문차라고 한다.

 

2002년 맹해차창 노수원차

 

2002년 맹해차창 특제청병과 2003년 맹해차창의 차왕청병이다. 특히 차왕청병은 병배차로서 명성을 날리고 있는 차이기도 하다. 반장야생 노수원차 등 이러한 차의 실물을 모두 전시하였다.

 

필자가 2회에 걸쳐 방문하면서 전시의 특별함을 본 것은 제품마다 차에 대한 설명이 텍스트로 있지만 누구라도 그 차에 대해서 질문하고자 하면 즉시 전시되어 있는 차와 같은 것으로 시음과 설명을 해 줄 수 있다는 점이었다. 비싼 차만 수집한 사람들에게서는 결코 볼 수 없는 현장 응대방식이다.

 

외국 같으면 아마도 이런 전시는 식품을 수입하는 관계된 국가기관에서 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 유독 그러한 전시가 항상 개인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도 한국의 특징이라고 말해야 할까 고민스럽다.

 

여상구 전시기획자, 우종천 님

 

위 전시는 중국에서도 찾아보지 못한 일이었고, 손님들의 시음도 상상못할 이벤트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시를 할 수 있는 분이 있다는것도 고마운 일이고, 이러한 자료적, 사료적 가치를 남길 수 있는 훌륭한 전시를 마련해 주신 여상구 님과 우종천 님께도 감사드린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다른 차에 대한 테마를 가지고 이런 전시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더 있을까에 희망과 기대를 가져 보는 하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맹해차창 후지 7542

   

새해 첫날 아침, 중국 백자 다완에 말차를 한 잔 마시고 '명가원'에 갔다. 새해 첫 손님이 아닐까 하면서도 그날이, 마침 일요일이라 늘 만나는 분들도 오시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하면서 문을 열고 들어갔다. 김경우 대표는 먼저 혼자서 한 잔 마시고 있었다.

 

잠시 새해 덕담을 나누고 있을 때 k선생이 오셔서 차를 새로 내게 되었다. 김 대표는 새해 첫날이니까  맛있는 차 마시자고 하시며 낸 차가, 1980년대 중반 맹해차창에서 생산한 후지 7542’였다. 자사호에 배꼽부분을 중심으로 조금 남은 것을 거의 털어내었다. 

 

김경우 대표의 차 내는 모습

 

한 번 세차한 후 마신 첫잔의 맛은 운무 속의 농익은 맛이다. 80년대 보이차의 특징은 대부분 습도가 높은 창고에서 보관된 차들이 많다. 이런 차의 특징은 맛에서 걸죽하면서도 풍부한 맛이 특징이다. 이런 맛은 공통적으로 노차를 마셔본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맛이다.

 

상대적으로 건조한 지역에 보관한 차라면, 이런 맛보다는 조금 깔끔한 맛이 나올 것이다. 보이차를 마시는 취향의 문제이지만, 익은 차를 좋하는 사람들에게는 환영받을 차일 것이다.

 

보이차 마니아의 새해 첫날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소황인 마시는 자리에서 청화백자 찻잔을 설명

 

1970년대 초 맹해차창에서 만든 대표적인 차는 약향과 장향이 같이 나오는 차로 소황인(사진 아래)이 있다. 이 차는 현대적인 기계시설에서 모차를 병배하여 만든 차의 초기 제품이다. 8일 명가원에서 우연히 만난 모증권사 안팀장이 차를 구입하는 과정을 목격하게 되었는데 차꾼들이 예전에 할 수 있었던 오래되었지만 흐믓한 풍경을 보았기에 기록하고자 한다

 

나온 차를 보니 온전하지는 않았다. 그도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소황인은 대부분 습기에 노출된 차들이라서 무게가 일정하지 않고 형태도 바른 것을 찾기 어렵다. 안팀장은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고 대금을 지불하고 그 자리에서 이 차 여기서 같이 먹지요하면서 차를 주인에게 건넨다. 그리고 이어지는 말이 좀 넉넉하게 넣고 마셔요한다.

 

서울에서 참 오랜만에 이런 멋진 광경을 본다.

 

그러면서 찻잔도 이제 제대로 구해서 마시고 싶다고 하자 함께한 K대표가 이왕이면 좋은 것을 추천하고 싶다하여 찻장에서 연대가 있는 청화백자를 꺼내어 보는 모습이 참 차인으로서 구색이 갖추어지는 좋은 장면이었다.

 

주인은 차를 넉넉히 넣고 차를 우렸다. 탕색에서 알 수 있는 넉넉함. 이런 호사가 또 있으랴 하면서 좋은 차를 마실 때에는 좋은 분들이 함께하는데 하는 생각을 하며 마침 첫차를 마시려고 하는데 문을 열고 들어오시는 스님 한 분. 생각지도 못하게 도일스님이 방문하셨기에 오늘 소황인과 함게 했던 자리를 한 줄로 요약하자면

 

귀한 분을 모시고 귀한 차를 함께 나눈 소중하고 기분 좋은 하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반장차라고 하는 차

 

품다열전 그 첫 번째 차로 상품으로 대기업에서 나온 차가 아닌 것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품다열전을 위해서 차를 찾아 나서기 보다는 일상적인 활동에서 만난 차였는데 차를 시음하고 그 맛이 좋았던 이유에서 주인의 양해를 구하고 시음기를 올리게 되었다. 또 한 편으로는 입창차에 대한 왜곡된 점도 많이 있는데 이런 차가 입창차로서 이후의 맛이 잘 나온 것으로 생각되어 시작하게 되었다.

 

일명 반장차라는 차다. 반장차라는 것은 유통과정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형적으로 80년대 중후반에 생산된 차라고 판단이 된다. 80년대 중후반차라고 단정하는 이유는 첫째 외형 포장지의 종이 지질이 80년대 생산된 차의 포장지이며 발효정도와 맛으로 추정하여도 80년대 중후반 차에서 나오는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물론 이 차는 입창차이다. 입창차로서 연대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차가 습기에 노출된 정도와 퇴창 정도에 따라 약간의 발효 정도는 편차가 있으나 이러한 특징들에 따라 가감해야만 연도 추정에 실수를 줄일 수 있다.

 

 

80년대 생산된 차로 판단 하며 생산차창은 아마도 맹해차창으로 추측할 수 있다. 80년대 중후반에는 개인차창들이 없었기 때문에 맹해차창에서 생산된 차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 맹해차창에서 정식으로 생산된 차라면 당시는 반장차는 이름으로 나오지 않았으며 7532, 7542, 8582라는 이름으로 나왔을 것이다.

 

이 차는 특이하게 내비가 없다. 하지만 차창에서 생산 당시에는 내비가 있었을 것이다. 근거로는 병면 중앙에 찻잎이 눌린 자국이 있기 때문이다. 찻잎이 눌린 자국은 내비가 처음에는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하지만 내비가 없는 이유는 아마도 80년대 중후반 대만과 중국의 양안 관계가 좋지 않은 시기에 내비를 제거하고 대만에서 수입하지 않았었나 생각된다.

 

보이차는 발효되면서 크게 두 가지 색상이 나타난다. 검은빛을 띄는 경우와 붉은 갈색 빛을 띄는 경우이다. 이차는 붉은 갈색 빛을 띈다. 이러한 차는 굳이 품차하지 않더라도 맛의 유추가 가능하다. 검은빛을 보이는 차는 떫은맛이 풍부하며 붉은빛을 보이는 차는 쓴맛이 치고 올라온다.

 

품차하여 보니 역시 1포와, 2포에서는 오랜 세월동안 잠자던 차여서 그런지 맛의 큰 특징이 없다. 3포와 4포째는 약하지만 쌉쌀한 맛이 느껴진다. 이래서 반장차라고 이름 붙었나 보다. 반장차 맛의 특징이라면 쌉쌀한 맛과 회감에서 풍부한 단맛이기 때문이다. 5포와 6포째로 뒤로 갈수록 떫은맛은 약해지면서 쓴맛이 치고 올라온다. 전형적으로 병면의 색상과 맛의 특징이 일치한다.

 

전체적으로 잘 발효된 차이다. 풍부한 바디감에서 조급 부족한듯하지만 맛의 균형이 좋고 회감에서 단침도 올라오는 차이다. 떫은맛과 쓴맛이 있지만 팩틴 성분이 막을 형성하여 몽글몽글한 느낌이기 때문에 혀에서 달라붙지 않아 기분을 좋게 한다. 전형적으로 잘 발효된 차에서 나오는 맛이다. 향에서도 크게 잡냄새가 나지 않은 것이 보관 상태도 양호한 차이다. 2001년도에 이 차를 구입하여 보관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구입 당시에는 풋맛과 풋향이 강했을 것이다. 하지만 14년이란 세월이 지나면서 차 자체가 머금고 있는 수분과 미생물들에 의해 발효가 진행된 것이다.

 

보이차는 근본적으로 입창을 했다고 해서 나쁘다.라는 인식은 옳지 못하다. 입창이 나쁜것이 아니고 퇴창을 얼마나 잘했느냐도 더 중요하다. 이것은 차를 마셔야 될 때를 판단해야 해야 한다. 보이차에서 세월은 중요하지 않다. 10년이란 세월을 우리가 보관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얼마 만큼에 변화가 있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이 차는 주인장의 안목에 의해 성공적인 판단을 하였다고 본다.

 

보이차 소장: 열화품다

소장 기간: 15

-

PS: 이 차는 내비가 없으며 연대를 추정하거나 특정 상품을 지칭할만한 근거가 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래서 보이 노차(일명 골동보이차)를 국제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시킨 경험을 가진 김경우 씨의 자문을 받아서 기술하게 된 점을 밝힌다.

'다미향담 > 품다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다열전(品茶列傳)을 오픈하면서  (3) 2015.02.24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맹해차창은 운남성 서쌍판납에 있고 국영에서 민영으로 바뀔때 대익보이차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우리는 늘 맹해차창을 말하면서 그것이 대익보이차의 전신이었다는 사실은 모른다.

, 국영이었던 맹해차창이 민간으로 바뀌면서 대익보이차로 되었는데 필자가 놀라운 것은 아직도 서쌍판납에 있는 맹해차창의 공장 정문은 그대로 맹해차창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수많은 차창이 명멸해 왔다. 우리가 알고 있고 기록에 남아 있는 것보다 많은 차창들이

지금 나오는 신생차창도 시간과 함께 역사 속에 흘러 명멸할 것이다.

 

우리는 지금 어떤 맛을 기억하고 있는가?

어쩌면 많은 보이차 매니아들이 대익에서 맹해차창의 맛을 기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1988년 생산 550g전차

 

이 전차는 필자가 부산 온천장에 오픈한 <열화품다> 주신자 대표를 만났을 때 오랜만에 당당하고 건강한 차 맛을 보았기에 사진 작업을 했다. 필자가 공을 들여서 기록할 만 한 차였다. (다미향담 100호)를 기념하는 글에서 다음 200호까지는 새로운 시도로 차의 외관을 정밀하게 촬영하여 보이차의 외형을 보여주기로 했다. 그 대상의 첫번째 차가 열화품다에서 소장한 1988년에 생산된 550g 전차다.

 

사진 작업을 위해서 보기 좋은 차를 선택한 것은 아니다, 어떤 차든지 포장을 여러번 뜯을 수는 없기에 그냥 마실 차 하나를 선택한 것이다. 차 사진은 필자의 오랜 경험으로 그 표정을 그대로 담고자 노력했다. 아래 사진은 왼 손으로 들고 오른 손으로 촬영을 하였다.


열화품다의 지난 기사
2014/01/10 -  다미향담(89) 열화품다, 마음의 문을 여는 차 한 모금
2013/11/30 -  다미향담(77) 찻자리 사진의 주인공을 찾습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도구옥션이 오픈된 지 벌써 10개월이 되었다. 출품 수량은 초기 180건 전후로 차도구와 보이차가 50:50의 비중으로 나왔다. 초기에는 다완이 인기를 많이 끌었던 품목 중에 하나였는데, 가장 고가로 낙찰된 것은 260만 원으로 도곡 정점교의 정조이라보 다완이며, 항아리는 우송 김대희의 백자 항아리로서 대구 순회전에서 구입한 작품이 출품되어 350만원에 낙찰되었다. 신정희요에서 신정희 으로 출품된 다완은 100만원, 천한봉 다완은 60만원이 최고가 낙찰되고 되었다.

중요무형문화제 15호인 김정옥 다완은 최고가 135만원이며, 최근 100만원을 넘긴 사례는 없는 편이다. 우송 김대희 백자 다기 중에서 다관을 찾는 이는 많은 편이나 실제 경매에 나온 다기 세트는 낙찰률이 저조하며, 인화문 다기는 15년 전의 작품으로 100만원을 넘긴 사례는 없다. 다시 말해 최근 5년 전후에 작업한 다기는 출품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작품의 시세와 차별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렵지만 시작가를 100만원으로 할 수 있는 작품을 기대하고 있다.

보이차는 가장 거래가 활발하다. 불신감이 팽배한 보이차 거래 시장에서, 그래도 가장 믿고 거래할 수 있는 장터가 차도구옥션이기 때문이다. 이번 10회차에서는 호남성에서 생산된 100냥 차. 500냥 차, 1000냥 차가 새로이 준비되고 있다. 지난날의 거품이 싹 거둬진 것으로, 시작에서 보더라도 이런 가격에 어떻게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정도이다. 맹해차창 80년대 대황인(생차, 357g)120만원으로 시작한다, 하관차창 2005 보염패전차, 진승차창 2010 복원창숙병(200g * 5), 추병량대사 한국방문기념병 소병, 하관차창 2009 8603포병(생차, 357g * 7)은 시작가 15만원으로 출품된다.

세계의 차 시장은 변화하고 있다
. 이제 어두운 곳의 뒷거래로 거래하던 시기는 지났다. 어정쩡한 보이차를 출처도 밝힐 수 없는 차들을 거래하면서 보이차 시장이 신뢰를 잃었다면, 이젠 누구나 확인이 가능하고 모든 것이 오픈 된 보이차 경매에서 흑차류를 통합한 거래에 더욱 신뢰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324일 오후 7시부터 28일까지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작품이나 보이차가 어떻게 거래되는지 확인하면 좋을 것이다. 이것이 허상 또는 기대가 아닌, 실제 시장 가격이 반영된 것이기에 더욱 관심을 가져볼 만한 일이 아닐까 한다.

  차도구옥션 바로가기 http://tauction.net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