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무암이 다반(茶盤)으로 사용된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선반작업이 가능해지고 표면을 다듬어 다반으로 사용하기에 무게도 가볍고 흡수성도 좋아 사실상의 다반 역할을 아주 잘 할 수 있는 재질이다. 더 나아가 일반적인 오석(烏石)이나 화강암에서 옥질(玉質)로 진행되는 석재(石材)들은 자칫 다구들의 파손의 위험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고정형이며 위치나 자리를 바꾸기에는 힘들다. 보여지기 위한 다반으로서의 역할이지 이동 산간에 쉬운 찻상으로서의 역할은 미약하다.

이전의 현무암 다반은 작은 크기였다. 많아도 4-5인의 찻잔과 다관을 놓을 수 있을 정도라 하겠다. 이번 작품은 매우 큰 사이즈이다. 커다란 찻상을 만들어놓은 것과 같다. 중국에서 나오는 단단하고 무거운 재질, 조각이 화려한 제품들보다는 소박해 보이지만 다반의 충실한 기능적인 면에서 볼 때 현무암은 가벼운 무게와 흡수성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것 같다.

다만 대나무 다반에서의 기능성과 실용성이라는 점도 생각하게 한다. 사람은 언제나 가장 편안한 것을 사용한다. 일시적으로 혹은 보여주기 위한 용도로 샛길로 갔다 오기도 하지만 언제나 사람의 선택은 쉽고 편한 것이다. 아마도 현무암 다반이 그런 목표를 가진다면 우리식의 다반이라는 거창한 명제를 갖지 않더라도 쉽고 편안한 기물로 진화될 것으로 믿는다.

# # 지난 4월 중순 대구 중국차 전문점'죽향'에 잠시 들렀을때 마침 제주도에서 이 신작을 만들어 차에 가득 실고 바다를 건너 부산을 거쳐 대구로 왔을 때 첫 방문지인 죽향에서 만나게 되었다. 마침 카메라를 가지고 있어서 촬영을 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