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들어서 차문화 행사장에서 행다법을 발표 하거나 차도구 전시장에서 다법을 시연할 때 이전에는 사용치 않았던 정병을 자주 들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유행이라는 울타리에서 바라본다는 시각을 넘어 심각한 의문을 가진다.

고려시대부터 만들어 왔고 또 사용되어 왔다는 수주는 등장하지 않고 종교적인 기물로 사용되었던 특수한 용도의 정병이 등장하는 것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다. 이는 마치 고려시대 불화가 많이 남아 있었던 당시에 생활 속에 각 가정에 불화를 걸어두지 않았다는 점과, 탱화가 많이 남아 있다고 해서 각 가정의 벽에 걸어두지는 못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비유가 될까?

정확히 사용될 수 있는 기물은 외면한 상태에서 장소와 격식에 맞지 않는 정병이 출현하고 또 그것이 당연한 듯 허용되는 풍경은 무어라고 규정해야 할 것인가. 이런 사실을 고민하면서도 안타까운 생각을 함께 하게 된다.

2011년 11월말 경에 출간될 <차도구의 이해>에서 차도구가 무엇인지, 정말 용감하게 사용하는 정병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오늘 두번째 교정을 넘겼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