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젊은 손님과 명가원 안주인

 

명가원에서 김경우 대표 부부와 같이 차를 마시는 도중에 아주 젊은 여성 손님이 왔다. 이 젊은 손님은 속칭 차계의 꼰대, 아재들 앞에서 추억의 유행어를 하게 되었다.

 

90년대에는 전국에 찻집이 즐비했고 성인들의 차 모임도 많은 시기였다. 이 당시 차회 모임이나 사무실에 들르면 왜 왔느냐 하기도 전에 차고파서 왔소~ 하며 문을 밀고 들어오는 일이 많았다.

 

그런 추억은 이미 30년 가까이 되는 과거인데, 갑자기 불쑥 온 손님에게서 그 말을 들으니 필자도, 대표 부부도 이렇게 반가울수가 하는 분위기가 되어 버린 것이다.

 

사연은 다음과 같다.

 

어쩌면 명가원에서 만나기 쉽지 않는 분위기를 잠시 같이 하게 되었는데, 젊은 여성이 다소곳한 자태로 명가원에 들어왔다. 명가원이 어디인지 전화로 먼저 문의를 한 모양이다. 보이 생차를 찾는 손님에게 어떻게 알고 명가원을 찾아오게 되셨나요 물었을 때, 블로그 석우연담을 보고 찾아 왔다고 한다.

 

김경우 대표는 석우연담에는 보이차를 명가원에 가서 구하라는 말은 없었는데 했더니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 명가원에 가면 된다는 의미로 여겼다라고 말한다.

 

그러자 사모님이 석우연담 운영자가 여기 있다고 하고 필자가 인사하며 제가 운영자입니다라고 했다. 앉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더니 손 인사를 청했다. 반가운 분 만나고 싶은 분을 만나게 되어서 반갑다고, 그동안 필자의 책 찻잔이야기, 사기장이야기,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3가지를 읽었다고 하며 오늘은 차가 고파서 오게 되었다는 말을 서슴치 않고 꺼내었다.

 

이것 참 오랜만에 듣는 말인데 그것이 이렇게 젊은 분에게 듣게 되니 대표부부와 함께 무척이나 반가웠고 갑자기 허물이 없어지는 느낌이랄까...

 

함께 차도 같이 마시고 싶었지만 필자는 다른 약속이 있어서 먼저 일어나게 되었다.

 

잠시 되돌아 그 시간을 생각해보면 세상이 많이 변했다는 점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이제 젊은 층에서 보이차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 층은 녹차나 청차를 찾아 나설 것 같았는데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이제 차의 세계도 그 변화의 폭이 넓어졌고 즐기는 고객층의 나이도 한층 내려왔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이렇게 세상이 서서히 변해가고 또 이어지고, 그렇게 넘실대며 가는 듯 마는 듯 그렇게 전해지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미소가 지어졌다.

 

올해 가을에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특강과 찻자리를 만들려고 기획하고 있다. 오늘 그 말, “차가 고파서 왔어요라는 말은 예전생각에 모두 내어주며 더 기쁜 마음으로 준비하고 싶은 생각이 활활~ 드는 하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헌향과 헌다, 차를 내기 위해 동작

 

강사진 공개 모집 이후 처음으로 연수를 겸해서 해남 대흥사 일지암 답사를 계획하였다. 77KTX를 타고 목포로 가서 1박 후 8일 오전에 박온순 선생님과 회원들의 안내로 분청사기 명장 몽평요에 방문하여 정철수 사기장으로부터 전통장작 가마와 분청사기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필자는 8일 몽평요에서 합류하여 일정에 동행하였다.

 

그다음 땅끝마을, 전라남도 해남으로 향했다. 가는 길에 템플스테이로 유명한 미황사에 들러서 회원들과 대웅전 법당에서 예를 갖추고 사찰 경내를 둘러본 후 대흥사로 갔다. 대흥사로 들어가는 두륜산 숲길은 서울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울창한 숲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일지암 대웅전

 

저녁 공양을 맛있게 하고 7시 이루향 서원 강사진의 헌향과 헌다가 있었다. 아직은 많이 미흡하지만, 그동안 배우고 익힌 것을 일지암 초의선사 영전이 모셔져 있는 법당에 올리게 되었다.

 

헌향과 헌다는 일지암 암주인 법인 스님께 향과 차를 받아서 영전에 올렸다. 이후 경내 마당으로 내려와서 헌다한 차를 음복하는 시간을 가졌다. 차는 법인 스님께서 외국에 나가서 사용할 차를 헌다에 사용하였는데 혜우 스님이 만든 차였다. 음복해보니 녹차의 깊은 맛이 좋았다.

 

일지풍월 담소시간에 향도 시연

 

의식을 마치고 나서 물이 조금 식었는데도 그 물로 우린 차가 오랜만에 옛날의 우리 녹차 맛을 느꼈다고 할 정도로 감회가 깊은 차를 마셨다. 이후 저녁에 사찰에서 하는 음악회에서 법인 스님과 정진단 원장의 향도에 대한 짧은 설명과 시연이 있었다.

 

일지암, 자우홍련사

 

다음날 자우홍련사에서 법인스님과 찻자리를 가지고 점심 시간 즈음에 일지암에서 가까운 진불암에 있는 국보 제308호인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을 친견하고 일지암으로 내려와서, 곧장 목포역으로 가서 식사후 서울로 상경하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골동보이차의 이해

 

저자 김경우

정가 35000

출판사: 티웰 / 전국 유명서점에서 취급

 

그 동안 골동보이차에 대한 대부분의 글들은 중국인의 시각에서 본 결과물 들이었다. 이 책은 독특한 창고 환경으로 인해 발효될 수 있었던 홍콩시장을 조명한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골동 보이차 거래의 국제적인 마스터가 집필하였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명한 보이차의 실제 모습들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사진자료로서 세계적으로도 이렇게 실물을 사진으로 담아 골동보이차의 모습들을 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책이다.

 

특히 골동보이차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감평이 붙어 있어 접할 수 없는 이들에게도 쉽게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문화계의 서적 중에서도 오랫동안 보관하고 소장할 수 있는 현재 한국에서 나온 골동보이차에 대한 마스터피스, 즉 최선본이라고 할 수 있다.

 

[골동보이차의 이해]는 목차만 보아도 보이차의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 골동 보이차의 소비, 탄생, 유통의 이해

1. 골동 보이차의 범위와 특징

1) 중국의 보이차 소비문화

2) 홍콩의 보이차 소비문화

 

 

2. 골동 보이차의 탄생

 

3. 보이차의 유통 경로

1) 홍콩의 보이차 유통 경로

2) 대만의 보이차 유통 경로

3) 우리나라의 보이차 유통 경로

 

챕터-2

 

. 호급 보이차(1960년대 전후)

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호급 보이차의 종류

1) 복원창(福元昌)

2) 송빙호(宋聘號)

3) 동흥호(同興號)

​ ​① 1920년대 동흥호·박지(同興號·薄紙)

1930년대 동흥호·후지(同興號·厚紙)

4) 동경호(同慶號)

쌍사동경호(雙獅同慶號)

용마동경호(龍馬同慶號)

5) 동창호(同昌號)

동창호·황금당(同昌號·黃金堂)

​ ② 동창호·황문흥(同昌號·黃文興)

6) 정흥호(鼎興號홍표, 람표, 자표)

7) 경창호(敬昌號)

8) 강성호(江珹號)

9) 동창황기(同昌黃記)

10) 건리정송빙호·백지(乾利貞宋聘號·白紙)

11) 사보공명(思普貢茗)

12) 복록공차(福綠貢茶)

13) 맹경원차(猛景圓茶)

14) 말대긴차(末代緊茶정흥긴차, 맹경긴차)

15) 기타 호급 보이차

 

 

2. 호급 보이차 이해와 트렌드 변화

1) 호급 보이차는 생산 당시에는 고급 보이차가 아닐 수도 있다

2) 호급 보이차는 현재를 의도하였을까?

3) 현재 호급의 아차나 산차가 없는 이유

4) 선발효 제다법의 등장에 따른 초기 숙차의 탄생

5) 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3

 

. 인급 보이차(1950~1970년대 초반까지)

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인급 보이차의 종류

1) 홍인(紅印)

2) 홍인철병(紅印鐵餠)

3) 무지홍인(無紙紅印)

4) 람인(藍印), 녹인(綠印)

5) 람인철병(藍印鐵餠)

6) 황인(黃印)

7) 곤명철병(昆明鐵餠)

8) 광운공병(廣雲貢餠)

 

2. 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4

 

. 숫자급 보이차(1970~1990년 초반까지)

숫자급 보이차에 앞서서

 

1. 숫자급 보이차의 종류

1) 대람인(大藍印)

2) 수람인(水藍印)

3) 하관철병(下關鐵餠)

4) 7432

5) 7542(73청병)

73청병

7542

6) 7572

7) 설인(7532)

설인

7532

8) 7582(8582)

7582

8582

9) 숫자급 시기에 생산된 기타 보이차

 

2. 1970년대 이후 숫자급 보이차의 특징 및 트렌드 변화

1) 입창차의 탄생

2) 퇴창의 중요성

3) 악퇴 발효의 등장

4) 숫자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5

보이차의 이해

1. 보이차의 이해

1) 제다 방법에 따른 구분 및 특징

생차의 특징

숙차의 특징

2) 보관 방법에 따른 구분과 특징

건창차의 특징

입창차의 특징

3) 만들어진 형태에 따른 구분과 특징

4) 발효와 숙성

  --

매일 경제신문에 안국동 명가원으로 나온 주인공이 <골동보이차의 이해> 저자 김경우 입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한국향도협회 창립 총회 오픈식 연주(왕웨이)

 

201871일 사단법인 한국향도협회 창립 총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많은 회원들의 참여속에 진행되었으며, 회장 정진단 외 이사진은 추후 발표한다.

 

향실에서 연주회를 감상하는 시간

 

고쟁 연주 왕웨이 동영상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현재 보유중인 상품 왕창 세일

 

취명헌이 8월 20일(예정) 인사동 본길에서 새로운 자리를 연다.

 

지금보다 더 크고 멋있게 준비하기 위해 몽땅 처분하고 다시 준비한다.

 

차 장사하는 분들의 로망이 인사동 본길에서 문을 여는 것인데, 이제 계약을 마치고 이전을 준비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이젠 좋은 것 빼놓고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몽땅 처분한다고 하니, 그 뜻을 함께 전하는 마음에 사진과 글을 올린다.

 

세일 기간: 7월 2일~7월 25일

주소: 서울시 종로구 가회동 159번지 102호

전화: 010 2243 9804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난사대(蘭奢待)

 

이루향서원(원장 정진단)에서 하는 침향특별전이 불교방송에 방영되었다. http://m.btnnews.tv/news/articleView.html?idxno=48515

 

동양의 오랜 역사와 문화 속에서 귀한 가치를 지녀온 침향과 기남을 615일부터 71일까지 약 보름 동안 전시한다.

 

특히 전시품 가운데 난사대(蘭奢待,らんじゃたい)는 일본 왕실의 보물창고인 동대사(東大寺) 정창원(正倉院)에 보관된 침향과 같은 것이다.

 

침향과 기남은 진품과 등급이 매우 중요한데, 이번 전시회 동안 만나게 될 작품들은 그동안 국내외에서 실물로 보기 힘들었던 최고급품들이다.

   

기간: 2018615()~71

장소: 이루향서원(서울시 종로구 윤보선길 19-18)

주관: 이루향서원

협찬: 중국향도협회, 중국향문화연구중심

문의: 070-4046-1666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라오상하이 박주홍 대표

 

서울 마포구에서 라오샹하이로 개업하고 고운찻집으로도 알려진 곳을 방문하여 주인 라오 반장(박주홍)을 만났다. 한 달 전에도 잠시 방문했는데 그 때는 주인이 없었다. 이날 주인을 만나 예전에 참석했던 차회가 요즘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물었는데 지금은 그 당시에 주관했던 조명숙 선생이 최근에 그만두고 이젠 찻집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한다고 한다.

 

라오상하이 일월담홍차

 

찻집의 분위기가 매우 성숙해 보였다. 달리 말하면 운영이 잘 되는 것 같다는 느낌, 주인에게 물었더니 요즘은 이제 젊은 층들로부터 호응이 좋아서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이날 일월담 홍차인데 2년 지난 차가 맛이 좋다고 내었다. ! 첫 잔에서 맛이 아주 풍부한 일월담 홍차를 만나 것에 놀랐으며, 일월담 홍차가 햇차일 때의 맛과는 전혀 다른 맛이다. 그냥 시간이 지난 맛이 아니라 잘 익어가는 맛이다.

 

숙성되어가는 맛, 그 맛을 서로 이야기하다가 이제 좋은 아이디어가 생겨서 실행할 기획인데. 20여 곳의 찻집을 모아서 공동브랜드 바른차로 차를 만들겠다고 한다.

 

좀더 자세히 물어보니 현재 10여곳은 같이 하기로 했다.고 한다. , 한 곳에서 보이차를 수입하여 판매하기엔 위험 부담이 많아서 공동의 의견을 모아 한가지 브랜드로 육대다류를 만들어 공동으로 홍보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말한다.

 

아주 좋은 의견이라고 격려하면서 꼭 공동브랜드 회원 발대식을 필자에게 알려달라고 했다. 그런 일들은 <다석>에서 취재하고 알리고 싶었다. 이제 차를 즐기는 인구의 연령층이 2030대로 낮아졌다. 그들이 원하는 방식의 차도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고운다원 박대표의 그 동안의 경험이 큰 힘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찻자리에서 마신 일월담 홍차. 귀한 맛이지만 이날 들은 차의 공동브랜드 바른차를 만들겠다는 포부와 신념을 들으며 우리 차계에 귀한 소리를 들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행보에 큰 박수를 보낸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침향전시장

 

이루향서원(원장 정진단)에서 침향특별전이 열렸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고가의 진귀한 물건인 침향과 백기남을 볼 수 있다. 왼쪽부터 백기남을 시작으로 캄보디아 침향, 혜안 침향, 관세음보살, 기남 염주 등이 관람객의 눈을 끌고 있다.

 

일본 명향 21종 보관

 

151시 매우 아름답고 격조있는 마키에(maki-e, 蒔絵) 함에 보관된 전시품을 소장자의 설명과 함께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소장자인 손량 선생은 명향 21종이 들어있는 서랍을 열면서 하나하나 싸여있는 종이와 기록물을 보여주었고, 상당히 수준 높은 통역을 통해서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소장자 손량(사진. 왼쪽에서 세 번째)

명향 21종 가운데 하나를 꺼내어 보여줌

 

보관함에 들어있는 품향일지는 1805년을 마지막으로 기록이 멈춰 있다고 한다.

손량 선생이 란자대(蘭奢待)를 보여준다

 

동영상을 통해서 실물 확인(동영상)

 

그리고 또 하나의 전시품으로 일본에서 최고 명향으로 불리는 동대사(東大寺) 정창원(正倉院)에 보관된 란사대(蘭奢待)에서 분리된 란사대를 설명과 함께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역사적 가치로 보면 대단한 명향인데 우리가 너무 쉽게 봐서 실감을 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3시에는 이미 예고된 왕강 선생과 함께하는 침향과 기남의 감별 시간이다.

백기남, 녹기남, 침향, 일본향당의 가라 등을 제한된 시간에 품향하기 위해 전기로 사용

 

품향후 현미경으로 표면 입자 확인

 

침향이나 기남을 수집하는 사람들은 늘 가짜에 속고, 등급에 속는 거래 속에서 안심하게 구입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한다. 침향 거래에서 예민한 문제를 잘 알고 있기에 이루향서원에서는 침향특별전을 통해서 중국에서 침향과 기남 감별사이자 중국향도협회 회장인 왕강王康 선생에게 실물을 품향하고, 먹어보고, 현미경으로 확인한 시간을 가졌다.

 

 

품향은 향도香道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리인데, 오늘의 품향 시간은 침향과 기남을 구분하고 확인하는 시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최고 수준의 향을 품향하게 되었다.

침향과 김남 감별을 마치고 품향한 자리

 

이루향서원에서 이런 특별한 전시를 준비하고 품향과 기남을 감별하는 프로그램을 만든 것에 이 자리를 통해서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모든 기물이 그러하듯 최고의 위치를 가진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어디에 있다는 것은 알아도 그것을 보거나 만질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그 중에서도 향의 세계와 그 종류, 그 중에서도 귀품, 명품, 신품의 존재들은 사진만으로도 감사할 지경인데, 이번의 기남, 그리고 분리된 란사대의 목격은 실로 사건이라 할 만 하다.

 

글로는 가볍게 이렇게도 쉽게 만나나 하는 말이 바로 그에 대한 변론이라 생각한다.

 

다시 한 번 이 지면을 빌어 귀한 물목을 보게 해 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석우.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