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황영하 대표


지난 월요일 스튜디오에서 보이차 촬영을 마치고 나오면서 고전문화에 들렀다. 황대표 혼자 있는데 늘 그렇듯 반갑게 맞이해 주시며, 차를 마시게 되었다.

 

오늘 차가 도착했는데...... 하시며, 일어나서 내어 보여주시는 것이 아직 박스가 오픈되지 않은 것이었다. 이 열어보지 않은 박스의 내용물은 다름아닌 운남성의 유명차산지인  서쌍판납주의 의방차구 만송지역을 포함하는 고 6대 차산과 노반장을 포함하는 신 6대 차산이다.

 

그리고 빙도지역을 포함하는 임창지구의 유명차산지 등 총 24개 마을에서 생산된 고차수의 표준을 산지별로 각24g씩 포장하여, 금년 하반기 고전문화 티아카데미의 보이차 강좌에서 강의를 하는데 사용하려고 준비하였다고 한다.


빙도노채를 꺼내는 모습


그중에서 보이차 메니아라면 가장 관심이 가는 인기 많고 고가인 빙도노채 통을 턱 꺼내어 개봉했다. 이 차 한 번 마셔봅시다고 하면서 아까운줄 모르고 통을 오픈했다.

 

너무 더운 날씨에 잠시 들렀는데, 이렇게 환대해 주니 고맙지만 미안하기도 했다. 차를 마시면서 이 차를 만든 이의 책을 꺼내어 저자의 실력과 노력, 10년간의 생차 공급가격이 전부 나온 책을 보여준다. 사실 국내에서 그런 자료를 만나기 어려운데 황대표는 늘 자료적인 부분에서는 이야기 도중에도 책을 꺼내어 확인시켜주는 것이 참 좋았다.


이런저런 최근 차 산지를 방문하고 다녀온 이야기를 하면서 매년 좋은 인연으로 마셔왔던 빙도 노채 맛을 올해 처음으로 마시게 되었다.

 

대접을 받은 고맙고 감사한 마음은 그 맛을 기억에 두기 위해 이렇게 기록을 남긴다.

 

늘 차를 대접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가장 아까운 것은 차를 마신 이가 그 차 맛을 모를 때이다. 그 반대로 가장 고마운 것은 차를 마신 후 좋은 차를 만난 것에 감사하는 사람들을 볼 때이다.

 

석우.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회 안내

 

골동보이 차회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공식 팜플렛이 나왔다. 이번 차회의 주인공은 복원창이다.


국내에서 공식적인 유료 차회에 사용된 것은 2006년 대구 '자연주의'가 처음이다. 12년 만에  홍인과 복원창이 같이 나오는 매우 특별한 날로 기억될 것이다.

 

1. 1980년대 7582
2. 1970년대 73청병
3. 1950년대 홍인 紅印
4. 1920년 복원창 자표 福元昌 紫票

 

8인/석 참가비 260만원/인

 

주최: 이루향서원. 명가원

장소: 이루향서원(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19-18)

 

연락처

전시보이차 문의: 02-736-5705

차회(茶會) 문의: 02-732-2666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1950년대 홍인(紅印)

 

한국에서 골동보이차 진품 차회가 열린다. 골동보이차 전시도 같이한다.

 

이런 방식의 특별한 전시회가 최초로 한국에서 이루어진 것은 1997418일 국제신문사에서다. 당시는 보이차의 가치 평가가 형성되기 전이었는데, 부산의 차인들이 소장하던 가장 가치와 연치가 높은 차류를 모아 전시한 국내 최초의 인급 호급 전시회였다.

 

20년이 지난 오늘날의 골동보이차 전시는 국내외에서 최상의 가격으로 가치 평가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선별된 차들의 전시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이루어진 골동보이차 차회는

2006년 대구 자연주의 찻집에서 당시 참가비 10만 원이라는 고가의 차회가 월 1회 간격으로 총 11회 진행되었다. 마지막 차회 때는 복원창이 나왔다. 그 당시 필자의 기록에 의하면 자연주의 차회는 훗날 전설적인 차회로 기억될 것이라고 되어 있다.

 

이제 12년이 지난 2018, 그때의 전설적인 차회의 시작을 알렸던 홍인과 마지막을 장식했던 복원창을 한자리에서 비교해 마셔보게 되었는데, 이러한 시음은 아마도 국내외 통틀어 처음 있는 일일 것이다. 고가의 차인 만큼 비용이 들어가는 부분이라 참가비 역시 최고가로 형성되었다. 1260만 원으로 16명이 정원이다.

 

품목:

1. 1980년대 7582

2. 1970년대 73청병

3. 홍인(紅印)

4. 복원창 자표(福元昌 紫票)

 

 

1920년대 복원창 자표(福元昌 紫票)

 

골동보이차 차회는 차회 중에서도 가장 윗급에 속할 것이다.

 

다름 아닌 골동 진품을 보고 배우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혹자는 이런 찻자리가 과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배우는 길에 대한 수업료라는 의미가 있다. 혹은 월사금이라고도 한다.

 

1억, 혹은 수천만 원에 호가하는 차를 배운다는 것은 곧 경험한다는 말과 같다.

 

진품으로 공인받은 차를 마셔보고 그 경험을 몸에 익힌다는 것, 결국 그 고가의 차를 구입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해서 스스로 준비하는 과정이고 경험이다. 몰라서 1억을 헛되이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체득을 해서 정확한 차를 소장할 준비를 해 둘 것인가 하는 입장에서 본다면 오히려 저렴한 수업료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모임이나 기회가 자주 없는 것은 바로 사회적 통념에 따른 가치판단의 기준에서 많이 벗어나기 때문이다. 보편적이 아니기에 다수의 관심은 이끌어낼 수는 있겠지만 요즘 말로 좋아요를 많이 받기는 힘들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의미는 있다.

앞으로 10년이 지나면 위와 같은 차품의 가격이 지금의 10배가 될 것이라는 뻔한 예상이 잘 들어맞을 것으로 판단되기에 금번 차회의 입장료는 필자 입장에서도 결코 아까운 투자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석우.

 

주최: 이루향서원. 명가원

장소: 이루향서원(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19-18)

 

연락처

전시보이차 문의: 02-736-5705

차회(茶會) 문의: 02-732-2666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3회 경주세계차문화축제

 

올해는 외국에서 참여자가 많은 관계로 찻자리는 매우 풍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찻자리 참석은 중국 15, 대만 5, 일본 4개 스리랑카 1개 국내 33 부스가 운영된다.

 

대회장: 김은호 

운영위원장: 김이정

 

티켓 10,000원

 

9.15일 오전10:30~18:00

로열석 》 ※10만원+1만원권 1매포함 지정석=녹차말차보이차 73청병

 

100,000원권, 10,000원권

 

일반석

1만원=로열석을 제외한 50석중 3곳을 선택

 

당일 무대배치

한국차중국차일본차 시연 및 해금가야금대금장구 등 연주

 

티켓 문의: 010-2813-2050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녹차 마시며 행사 진행 설명

 

무더운 여름 오후에 아사가 차관을 방문했다. 오랜만에 김이정 관장님과 2층 작은 차실에서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73청병을 내어 주셨다.

 

방문한 날이 마침 금요 차회가 있는 날이었는데, 이야기를 마치고 김 관장님은 차회 준비로 1층으로 내려가시고, 그 후에는 강종훈 선생과 차를 마시며 그간의 차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경주세계차문화축제 티켓 봉투 작업

 

오랜만에 김은호 회장님과 이영주 원장님께 인사도 드릴 겸 차회에 참석하게 되었다차회는 7시 정각에 시작하는데, 1층에서 식사를 먼저 하였다. 그 장소에서 김은호 회장과 이영주 원장님, 그 외 자주 뵙는 아사가 회원분들과 만났다. 메뉴 이름은 모르겠지만 해삼이 주원료인 여름철 보양식이었다.

 

녹차를 마시면서 티켓 작업

 

식사 후 2층으로 올라가서 찻자리가 준비된 차탁에 모두 앉았다. 차회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이 있었는데, 그것은 경주세계차문화축제 10,000원권 티켓을 봉투에 넣는 일이었다. 전날 목요 차회반도 똑같은 일을 했다고 한다. 참석한 회원들은 대부분 고정 멤버들이었기 때문에 자기 일같이 한마음으로 봉투 작업을 마친 후 차를 마셨다.

사진 아래 7572 소구중, 위 7572 대구중

 

아사가 차회에서는 늘 녹차부터 시작한다. 봉투 작업할 때부터 녹차를 마시기 시작하였다. 자리를 정돈한 후에는 아리산오룡을 마시게 되었는데, 80년대 만든 차를 중간에 홍배하지 않고 그대로 보관한 차라고 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차회에서 만나기 어려운 7572 소구중과 대구중을 비교해서 마셨다.

 

7572 소구중과 대구중 비교 설명

 

차회 기본 회비는 7572 소구중까지 마실 수 있는 정도였는데 대구중까지 함께 마시니 의외의 보너스를 받아가는 느낌이었다. 소구중과 대구중을 비교 시음하는 것은 보이 노차를 즐기는 분들에게 하나의 공부가 되는 좋은 기회인데, 필자로선 아주 좋은 기회를 얻은 것 같았다.

7572 대구중

 

소구중은 잘 만들어진 숙차(조수발효)로 보이차 메니아로부터 평가받고 있는 차다. 7572 대구중은 완전 청병이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조수발효라도 경발효 시켜서 생차 맛이 나는게 특징). 비슷한 맛을 느낄 수 있는 것도 발효 방법에서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맛은 세밀하게는 격이 매우 다르다.

 

이번 차회는 그 다름을 비교한 자리다. 이런 차회는 주최 측에서 다양한 차를 확보하고 있을 때 가능한 것으로, 137회 차회의 저력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7572 소구중과 대구중 설명(동영상)

 

그다음으로는 우림고차방에서 생산된 2018년 노반장이었다. 우림고차방은 제품을 종류별, 크기별, 시음용별로 아주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다.

우림고차방 2018년 노반장

 

요즘 중국에서 보이차의 신삼국지를 말할 때 진승차창 다음으로 우림고차방을 말하는데, 차회에서 우림고차방의 노반장이 품목에 나왔다는 것만으로 신삼국지 반열에 올라간 것으로 보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젊은 손님과 명가원 안주인

 

명가원에서 김경우 대표 부부와 같이 차를 마시는 도중에 아주 젊은 여성 손님이 왔다. 이 젊은 손님은 속칭 차계의 꼰대, 아재들 앞에서 추억의 유행어를 하게 되었다.

 

90년대에는 전국에 찻집이 즐비했고 성인들의 차 모임도 많은 시기였다. 이 당시 차회 모임이나 사무실에 들르면 왜 왔느냐 하기도 전에 차고파서 왔소~ 하며 문을 밀고 들어오는 일이 많았다.

 

그런 추억은 이미 30년 가까이 되는 과거인데, 갑자기 불쑥 온 손님에게서 그 말을 들으니 필자도, 대표 부부도 이렇게 반가울수가 하는 분위기가 되어 버린 것이다.

 

사연은 다음과 같다.

 

어쩌면 명가원에서 만나기 쉽지 않는 분위기를 잠시 같이 하게 되었는데, 젊은 여성이 다소곳한 자태로 명가원에 들어왔다. 명가원이 어디인지 전화로 먼저 문의를 한 모양이다. 보이 생차를 찾는 손님에게 어떻게 알고 명가원을 찾아오게 되셨나요 물었을 때, 블로그 석우연담을 보고 찾아 왔다고 한다.

 

김경우 대표는 석우연담에는 보이차를 명가원에 가서 구하라는 말은 없었는데 했더니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 명가원에 가면 된다는 의미로 여겼다라고 말한다.

 

그러자 사모님이 석우연담 운영자가 여기 있다고 하고 필자가 인사하며 제가 운영자입니다라고 했다. 앉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더니 손 인사를 청했다. 반가운 분 만나고 싶은 분을 만나게 되어서 반갑다고, 그동안 필자의 책 찻잔이야기, 사기장이야기,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3가지를 읽었다고 하며 오늘은 차가 고파서 오게 되었다는 말을 서슴치 않고 꺼내었다.

 

이것 참 오랜만에 듣는 말인데 그것이 이렇게 젊은 분에게 듣게 되니 대표부부와 함께 무척이나 반가웠고 갑자기 허물이 없어지는 느낌이랄까...

 

함께 차도 같이 마시고 싶었지만 필자는 다른 약속이 있어서 먼저 일어나게 되었다.

 

잠시 되돌아 그 시간을 생각해보면 세상이 많이 변했다는 점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이제 젊은 층에서 보이차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 층은 녹차나 청차를 찾아 나설 것 같았는데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이제 차의 세계도 그 변화의 폭이 넓어졌고 즐기는 고객층의 나이도 한층 내려왔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이렇게 세상이 서서히 변해가고 또 이어지고, 그렇게 넘실대며 가는 듯 마는 듯 그렇게 전해지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미소가 지어졌다.

 

올해 가을에는 젊은 층을 대상으로 특강과 찻자리를 만들려고 기획하고 있다. 오늘 그 말, “차가 고파서 왔어요라는 말은 예전생각에 모두 내어주며 더 기쁜 마음으로 준비하고 싶은 생각이 활활~ 드는 하루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헌향과 헌다, 차를 내기 위해 동작

 

강사진 공개 모집 이후 처음으로 연수를 겸해서 해남 대흥사 일지암 답사를 계획하였다. 77KTX를 타고 목포로 가서 1박 후 8일 오전에 박온순 선생님과 회원들의 안내로 분청사기 명장 몽평요에 방문하여 정철수 사기장으로부터 전통장작 가마와 분청사기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필자는 8일 몽평요에서 합류하여 일정에 동행하였다.

 

그다음 땅끝마을, 전라남도 해남으로 향했다. 가는 길에 템플스테이로 유명한 미황사에 들러서 회원들과 대웅전 법당에서 예를 갖추고 사찰 경내를 둘러본 후 대흥사로 갔다. 대흥사로 들어가는 두륜산 숲길은 서울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울창한 숲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일지암 대웅전

 

저녁 공양을 맛있게 하고 7시 이루향 서원 강사진의 헌향과 헌다가 있었다. 아직은 많이 미흡하지만, 그동안 배우고 익힌 것을 일지암 초의선사 영전이 모셔져 있는 법당에 올리게 되었다.

 

헌향과 헌다는 일지암 암주인 법인 스님께 향과 차를 받아서 영전에 올렸다. 이후 경내 마당으로 내려와서 헌다한 차를 음복하는 시간을 가졌다. 차는 법인 스님께서 외국에 나가서 사용할 차를 헌다에 사용하였는데 혜우 스님이 만든 차였다. 음복해보니 녹차의 깊은 맛이 좋았다.

 

일지풍월 담소시간에 향도 시연

 

의식을 마치고 나서 물이 조금 식었는데도 그 물로 우린 차가 오랜만에 옛날의 우리 녹차 맛을 느꼈다고 할 정도로 감회가 깊은 차를 마셨다. 이후 저녁에 사찰에서 하는 음악회에서 법인 스님과 정진단 원장의 향도에 대한 짧은 설명과 시연이 있었다.

 

일지암, 자우홍련사

 

다음날 자우홍련사에서 법인스님과 찻자리를 가지고 점심 시간 즈음에 일지암에서 가까운 진불암에 있는 국보 제308호인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을 친견하고 일지암으로 내려와서, 곧장 목포역으로 가서 식사후 서울로 상경하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골동보이차의 이해

 

저자 김경우

정가 35000

출판사: 티웰 / 전국 유명서점에서 취급

 

그 동안 골동보이차에 대한 대부분의 글들은 중국인의 시각에서 본 결과물 들이었다. 이 책은 독특한 창고 환경으로 인해 발효될 수 있었던 홍콩시장을 조명한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골동 보이차 거래의 국제적인 마스터가 집필하였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유명한 보이차의 실제 모습들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사진자료로서 세계적으로도 이렇게 실물을 사진으로 담아 골동보이차의 모습들을 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책이다.

 

특히 골동보이차 하나 하나에 대한 설명과 감평이 붙어 있어 접할 수 없는 이들에게도 쉽게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문화계의 서적 중에서도 오랫동안 보관하고 소장할 수 있는 현재 한국에서 나온 골동보이차에 대한 마스터피스, 즉 최선본이라고 할 수 있다.

 

[골동보이차의 이해]는 목차만 보아도 보이차의 역사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 골동 보이차의 소비, 탄생, 유통의 이해

1. 골동 보이차의 범위와 특징

1) 중국의 보이차 소비문화

2) 홍콩의 보이차 소비문화

 

 

2. 골동 보이차의 탄생

 

3. 보이차의 유통 경로

1) 홍콩의 보이차 유통 경로

2) 대만의 보이차 유통 경로

3) 우리나라의 보이차 유통 경로

 

챕터-2

 

. 호급 보이차(1960년대 전후)

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호급 보이차의 종류

1) 복원창(福元昌)

2) 송빙호(宋聘號)

3) 동흥호(同興號)

​ ​① 1920년대 동흥호·박지(同興號·薄紙)

1930년대 동흥호·후지(同興號·厚紙)

4) 동경호(同慶號)

쌍사동경호(雙獅同慶號)

용마동경호(龍馬同慶號)

5) 동창호(同昌號)

동창호·황금당(同昌號·黃金堂)

​ ② 동창호·황문흥(同昌號·黃文興)

6) 정흥호(鼎興號홍표, 람표, 자표)

7) 경창호(敬昌號)

8) 강성호(江珹號)

9) 동창황기(同昌黃記)

10) 건리정송빙호·백지(乾利貞宋聘號·白紙)

11) 사보공명(思普貢茗)

12) 복록공차(福綠貢茶)

13) 맹경원차(猛景圓茶)

14) 말대긴차(末代緊茶정흥긴차, 맹경긴차)

15) 기타 호급 보이차

 

 

2. 호급 보이차 이해와 트렌드 변화

1) 호급 보이차는 생산 당시에는 고급 보이차가 아닐 수도 있다

2) 호급 보이차는 현재를 의도하였을까?

3) 현재 호급의 아차나 산차가 없는 이유

4) 선발효 제다법의 등장에 따른 초기 숙차의 탄생

5) 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3

 

. 인급 보이차(1950~1970년대 초반까지)

인급 보이차에 앞서서

 

1. 인급 보이차의 종류

1) 홍인(紅印)

2) 홍인철병(紅印鐵餠)

3) 무지홍인(無紙紅印)

4) 람인(藍印), 녹인(綠印)

5) 람인철병(藍印鐵餠)

6) 황인(黃印)

7) 곤명철병(昆明鐵餠)

8) 광운공병(廣雲貢餠)

 

2. 인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4

 

. 숫자급 보이차(1970~1990년 초반까지)

숫자급 보이차에 앞서서

 

1. 숫자급 보이차의 종류

1) 대람인(大藍印)

2) 수람인(水藍印)

3) 하관철병(下關鐵餠)

4) 7432

5) 7542(73청병)

73청병

7542

6) 7572

7) 설인(7532)

설인

7532

8) 7582(8582)

7582

8582

9) 숫자급 시기에 생산된 기타 보이차

 

2. 1970년대 이후 숫자급 보이차의 특징 및 트렌드 변화

1) 입창차의 탄생

2) 퇴창의 중요성

3) 악퇴 발효의 등장

4) 숫자급 보이차 가격 형성의 특징

 

챕터-5

보이차의 이해

1. 보이차의 이해

1) 제다 방법에 따른 구분 및 특징

생차의 특징

숙차의 특징

2) 보관 방법에 따른 구분과 특징

건창차의 특징

입창차의 특징

3) 만들어진 형태에 따른 구분과 특징

4) 발효와 숙성

  --

매일 경제신문에 안국동 명가원으로 나온 주인공이 <골동보이차의 이해> 저자 김경우 입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