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화방 차도구

 

부산지역 차의 거리라고 하면 부산데파트 뒤에 있는 거리다.

찻집도 있고, 몇몇의 차도구 전문점이 모인 곳이다. 그 가운데 소화방이 있다. 외관으로만 보면 여러가지 골동품을 취급하는 곳으로 볼 수 있지만, 실제 안으로 들어가면 일본 차도구가 깔끔하게 진열되어 있다. 좀더 자세히 보면 중국 차도구도 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격을 갖춘 차도구가 자리를 잡고 있다. 보는이의 눈 높이에 따라 전혀 흥미가 다른 것일 수도 있다. 필자는 이곳을 어언 18개월 만에 찾은 것 같다.

 

차도구 전문점 소화방에서의 만남은 그래서 필자에겐 좀 더 재미난 곳이다. 재미난 자사호에 차를 주섬주섬 섞어 넣는 것 같이 보였는데 우려낸 차의 탕색을 보았을 때 찻잔과 받침, 그리고 차 맛이 어울려 나오는 그 맛이 무척 좋았다. 무슨 차인가 하고 물었다. 갑자기 낼 차가 마땅찮은데 현재 가지고 있는 차가 80년대 7532와 문혁전차가 혼자 마실 정도의 양밖에 되질 않아서 섞었다고 한다.

 

보이차8532와 문혁전차를 섞은 차

 

그런데 무척이나 괜찮은 맛이다. 다시말해 80년대 7532 맛 보다는 전차 특유의 맛이 더 힘있게 나온 맛이다. 그래도 요즘 말로는 노차반열에 들어가는 차들인데, 궁금해서 다시 한 번 물어 보았다. 이렇게 섞어서 자주 마시는가 하고. 섞어서 마시는데 의미를 두기 보다는 상황에 따라서 집에서 가져온 차가 마시고 난후에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이렇게 마셔보는데 괜찮은 것 같아서 마신다고 한다.

 

세월감이 좋은 찻잔이다

8탕 정도 마신 차의 탕색

 

차를 섞어서 마시는 방법에서 무엇이 맞다, 아니다, 옳다, 그르다의 문제가 아니다.

섞어서 마시는 방법론적인 문제이기에 그런 맛을 또 하나의 맛으로 즐기게 된다. 초보자의 경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지만 오랜 차생활 끝에 만나게 되는 것인지 모르지만 차가 좋고 사람이 좋을 때 상황에 따라서 즐길 수 있는 맛이다.

 

오래 마셔본 이들은 한결같이 말한다.

경험의 맛이라고. 그리고 응용편도 있다고.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고전문화, 차왕수채

 

보이차를 즐기는 사람 가운데 고수차에 관심있는 분들이 많아 졌다. 그렇다고 고수차가 있는 차 산지를 확인하면서 차를 마실 수는 없다. 그저 차와 인연이 깊은 상인 중에서 서로 믿고 거래하는 가운데 좋은 차를 만나게 된다.

 

필자는 여러 경로를 통해서 고수차 탐방 프로그램으로 답사를 가게 되면 언제나 중복해서 다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여러 사람이 다니다 보면 힘든 길은 찾아가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그런 차 산지 중에 차왕수채가 있다. 그곳을 가려면 이무에서 2시간 걸려 괄풍채로 가서 오토바이나 차를 이용하여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걸려서 도착하면 또 걸어서 1시간 30분을 가야 차왕수차가 나온다. 이곳에서 황영하 대표는 직접 만드는 작업 공정에 참여하여 완성해온 차를 이번 <보이차도감>에 넣기 위해서 촬영을 하였다.

 

차왕수채, 경매산 고수차 시음(석우미디어 동영상)

 

오후에 촬영한 차를 전해드리러 갔는데 그곳에서 도감에 나오는 차 두 가지를 시음하게 되었다. 처음 마신 경매산 차는 소엽종으로 깨끗하고 시원한 맛을 낸다. 쓰고 떫은 맛은 나지 않고 고수차가 가지고 있는 기본 품성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차다.

 

두 번째는 차왕수채로서 입과 목이 시원한 맛은 고수차에서 공통적으로 느끼는 화~한 맛이 들면서 두터운 맛이 베어나온다. 흔히 말하는 잡향이나 잡맛이 나지 않은 순수한 맛이다. 이렇게 마실 때면 이 차가 과연 5년 뒤, 10년 뒤에는 어떤 맛으로 변할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고, 지금 이 맛으로도 현재에 충실하게 즐기는 편이 훨씬 좋겠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초암 차실

 

대구에서 바쁘게 일을 보다가 오후 4시경 택시로 이동하면서 (사)초암차도진흥협회 이욱형 이사장 님께 전화를 했다. 오전에 대구에 와서 일을 마치고 서울 가려고 하는데 혹시 시간이 되시면 잠시 뵙고 싶다고 했다. 흔쾌히 초암 차실로 오라 하시기에 530분에 만나기로 하고 일정을 맞추어 찾아 갔다.

 

여름인데도 초암 차실에는 숯불이 살아있다.

종형의 무쇠 주전자에서는 물이 끓고 있다.

오늘 필자가 오기 전에 손님이 다녀갔다고 하시며 차를 내셨다.

 

초암 차실(석우미디어 동영상)

 

다다미로 된 초암차실은 늘 정갈해 보였다. 그곳에서 차를 대접받았는데 무슨 차인가는 묻지 않았지만 발효차인 것만은 확실하다. 그것을 좋은 맛으로 내기 위한 주인의 노력은 정성이 가득 담긴 차 한잔. 무더운 여름 날씨에 몇몇 곳을 급히 다녀온 필자의 마음과 속을 시원하게 쓸어 내려 준 차가 되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궁정산차와 90년대 8582

 

차를 마실 때 두 가지 차를 섞어서 마시는 경우는 잘 없는 편이다. 그런데 보이차의 메니아 중에는 단품으로 마시기엔 조금 부족한 차를 보완하기 위해서 두가지를 섞어서 자신이 원하는 차 맛을 즐길 때가 있다.

그런 맛을 잘 내는 명가원 김경우 대표의 방법을 한가지 공개한다. 그래서 일요일 오전에 이번에는 새로운 시도를 해보았다. 20년 정도 된 궁정산차에 찻잎이 크고 강한 맛의 생차를 섞어보았다.

 

90년대 초반의 8582는 큰 찻잎으로 거칠고 강한 맛인데, 궁정산차를 섞어 마실 때에는 바디감이 느껴지고 맛이 고르게 나오게 된다. 궁정산차의 중간 평원같은 맛에 처음과 끝을 잡아주는 거칠고 강한 8582가 합쳐지면 단품으로는 부족한 것을 아주 매력적인 풍부한 맛으로 바꾸어 얻을 수 있다.

 

보이차 섞어 마시는 맛(석우미디어 동영상)

 

이 방법은 명가원 김 경우 대표가 자주 이용하는 편인데 독자에게도 그 방법을 알리고자 간단하게 동영상을 담았다. 실제 마셔보면 훨씬 재미있는 맛을 얻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보이차 섞어 마시는 다른 기사

2015/02/15 - 다미향담(155) 73청병과 97년 7542를 함께 즐기다

2015/02/02 - 다미향담(152) 황인 숙차와 1990년대 맹고의 조합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70년대 보이산차

 

일요일에 약속은 하지 않지만 모이는 사람이 있다.

한 명이 올때도 있지만 지난 일요일 같이 또 다른 메니아의 부부가 자리에 함께 할때도 있다. 명가원 김경우 대표가 내어주는 차는 늘 다양하게 맛을 볼 수 있게 한다. 필자가 갔을 때는 주인과 k대표 남매가 90년대 7542를 마시고 있었다. 이런 차를 마실 때는 역시 보이차가 좋아라는 마음속 말을 하게 된다.

 

몇잔 마시고 있을 때 손님이 왓다. G씨다 늘 휴일에 만나는 멤버다. 또 한 분이 문을 열고 왔다. k씨다 그렇게 해서 기본으로 모이는 세사람에 k대표 남매와 주인 합해서 6명이다.

 

이때 k대표가 흰 편지 봉투에 담아온 차를 내어 보이면서 70년대 산차인데 집에서 자주 마시는 차라고 하면서 같이 마셔보자고 한다. 건차를 봤을 때 최근 유행하며 나오는 목질화된 80년대 산차나 70년대 산차라고 나오는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외형에서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지만 70년대의 산차가 분명하다는 점은 알 수 있었다.

 

손님이 가져온 70년대 보이산차를 우리면서

 

주인 김경우 대표는 자사호에 차를 넣고 물을 붓는 순간 이 차 오랜만에 올라오는 향이 참 좋습니다한다. 세차를 하고 나누어 마시는데 좌중 모두가 같은 말이다. 산차에서 이런 맛을 보는 것도 귀한 일이고 또 이만한 차를 만나기도 힘들다. 아니 요즘 같아선 만나뵙기도 힘들다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이렇게 모여서 한 번씩 자기가 가져온 차를 음미하는 것이 최근 새로운 재미가 솔솔 붙었다.

 

지난번에는 G씨가 홍콩에서 선물 받은 90년대 녹인타차를 가지고 왔는데 요즘 볼 수 없는 재미난 맛과 더불어 향후 더 맛이 좋아지겠다는 중론을 얻게 되었다. 이제 찾아간 차 전문점에서 마시는 차와 가끔 손님끼리 가져와서 마시는 차 맛이 더해져서 찻자리에 새로운 재미가 늘었다.

 

요즘은 좋은 차를 한 잔 하기도 어렵지만

좋은 차를 가지고 있어도 선뜻 누구와 마실 수 없다는 것이 아쉬워 진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정화다원 일본 차실

 

부산에는 중국차로 차회를 꾸준히 하고 있는 정화다원이 있다. 오모데센케류 다도계고장(茶道稽古場) 적조암에서 최미경 선생의 지도를 받고 있는 교육생이 선생님과 함께 정화다원 정기차회에 참석한다는 것을 당일 12시에 김성탁 씨와의 전화 통화에서 알게 되어 참석하였다.

 

정화다원이 차관으로서의 큰 장점은 중국차 전문점이면서 일본식 다실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차를 마시기 전에 먼저 일본식 차실에서 김성탁 씨가 말차를 내었다. 적조암 회원들이 말차를 마시고 차도구 감상 순서에서는 현장 실습과 같은 분위기로 최미경 선생의 지도를 받는 시간도 있었다

.

참가자가 같은 회원이라 학습을 겸한 차회라는 생각이 잠시 들기도 했다. 본 차회를 위해서 입식으로 된 차탁에 앉아야 하는데 옻칠 소반에 호박죽이 준비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많이 묶은 천량차가 오프닝 차로 나왔다. 이 즈음에서 술도 나왔는데, 원래는 정종이 나온다고 하는데 이날은 특별한 날이라서 베리나인골드 21”을 내었다.

 

정화다원 송정화 대표의 차회 설명

 

호박죽과 술로 약간의 허기를 면하고 차를 마시는데 부담이 없는 상태에서 첫 번째 차를 마셨다. 1980년대에 숙차와 생차를 7:3으로 병배한 차다. 이 차는 주인이 90년대에 구입한 차라고 한다. 숙차로서의 고유한 향을 크게 느끼지 못할 만큼 정상적으로 잘 익은 차가 되었다.

 

다음으로 맹해차창에서 생산한 70년대 7542. 이 차는 계보있는 차로서 맛으로 본다면 대단히 좋은 차이지만 오늘 손님은 일본 다도를 배우는 분들이라 혹시 차성이 강하게 나올까 싶어서 조금 빨리 우려낸 맛이다. 필자같이 차를 진하게 마시는 사람에게는 조금 아쉬움을 가지겠지만  참석자의 기호에 맞춘 맛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회비 3만으로 이만한 차를 시음해 본다는 것 자체가 참가자에게는 복을 받은 날이고 주관하는 차관 입장에서는 나눔이라는 단어가 더 크게 다가오는 차회였다.

<이 날의 차회는 9월에 발매될 아름다운차도구 9권에서 만날 수 있다>

 

 

정화다원 지난 기사

2014/12/28 - 다미향담(135) 보이차 마시는 찻집

2013/12/22 - 다미향담(82) 정화당의 올해 마지막 찻자리

2013/04/16 - 다미향담(59) 정화당, 정화다원(찻집)이 문을 열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목탄화가 된 산차

 

보이차를 시음하는 자리에서 가끔은 황당한 일을 겪을 때가 있다. 이치에 맞지 않는 년도를 비롯하여 차의 제조공정을 조금만 알아도 할 수 없는 말들이 오고가는 것을 보면 요즘엔 함부로 우연한 찻자리에 함께 하기 힘들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보이차가 약은 아니다. 즐기는 차일 뿐이다. 모든 음식에는 우리 몸에 들어와서 제 역할을 수행하는 물질로 변화되듯이 그 성분과 체내 합성의 이유만으로 약으로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기본적으로 보이차라는 것도 맛을 보고 판단한다. 차에서 나타나는 음용 후의 열감을 두고 보이차를 평가해서는 안된다. 열감은 어느 차든지 일정한 품질과 정도가 되면 일어 나는 것으로 그것이 보이차의 기준이 될 수는 없다.

 

찻잎의 성품이라면 조금 가까울까 전체적인 차의 범주를 두고 말하자면 무리가 많다. 특히 최근에 자주보는 것으로 목탄화가 된 산차를 보면 이런 차를 조수발효 기법이 만들어진 이후의 차라고 하면서 50년대 말,60년대 초의 차라고하는 점은 더욱 이해가 되지 않는다.

 

또는 70년대 산차라고 나오는 차, 80년대 산차라고 나오는 차들도 90년대에 만들어진 차들이 많다는 점은 그만큼 시장의 수요과 공급이 불균형이라는 것을 말해줌과 동시에 엉뚱한 수요가 그러한 공급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육안차 광주리 

 

필자가 육보차에 대해서는 보이차 만큼이나 좋아한 적이 있다. 이제는 좋은 육보차를 만나지 못해서 그러한 감동은 없지만 그래도 지난날의 좋은 맛을 내어 주는 육보차를 만나고 싶었다. 하지만 그 좋은 맛을 내어준 차가 육보차가 아니라 운남 이무차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부터는 육보차 광주리에 든 차가 육보차가 아니라 보이차 60년대 차를 마신 것이었다.

 

그런 진실을 알고 난 이후에는 오래된 육보차의 광주리를 보면서 외형과 맛을 확인하는 습관이 들었다. 그런 시점에 또 비슷한 차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분명이 육안차인데 그 내용물은 육안차가 아닌 보이찻잎이다. 원래 육안차는 안휘성 차로서 소엽종인데 대엽종으로 만들었다. 그렇지만 맛은 90년 만든 차의 공통적인 맛인데 입창한 흔적이 보이는 차다.

 

육안차 내비

 

과거 같으면 이 차는 가짜다라고 할 것인데, 이제는 엄연히 육안차 광주리인데도 보이차가 들어 있으니 보이차라고 생각하고 마신다. 이날도 모 가게에서 서로가 알고 마시는 차인데 간만에 90년대 중반의 잘 익은 차 맛을 음미하고 온 시간이었다. 이런 것을 현실에서 보고 웃어넘기면서도 과거 차 제조 현실을 이해하며 즐기게 된다. 입창한 차인데 그 시대 대부분의 차들이 이런 맛으로 만나게 된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