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일 전, 아사가차관에서 대차회 건으로 방문해 회의를 마친 뒤, 반가운 인연을 만났다. 전통 도예가 홍우경 작가를 우연히 마주한 것이다. 함께 점심을 나누고 차관으로 돌아와 김이정 관장님이 차를 내주는 자리에 앉았다. 그 자리에서는 덕화 백자와 칠기 찻잔을 비교하며 차를 마시는 경험이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아무런 정보 없이 칠기 찻잔으로 마신 차의 맛이 어떠냐는 질문을 받았다. 그 순간, 이전에 마시던 덕화 백자 찻잔과의 비교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칠기 찻잔으로 마신 차는 더욱 깊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끼게 해주었다. 그런데 이 찻잔이 홍우경 작가의 손에서 탄생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나는 그 자리에서 즉석 인터뷰를 요청했다. 어떻게 이런 찻잔을 만들게 되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홍우경 작가는 이야기를 시작했다. 우리 잡안에 가지고 있는 까르마가 백자, 청자, 칠기 그릇이 있었다. 칠기 그릇으로 만들기 시작할 즈음 아사가차관 김이정 관장님의 행사 때에 사용할 찻잔을 만들게 된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그때 처음 만든 찻잔이 오늘 마시고 있는 찻잔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한국에서 1세대 사기장인 홍재표 사기장의 아들로서 전통 도예의 맥을 잇고자 오랜 시간 연구와 실험을 거듭해왔다.
홍우경 작가의 첫 칠기 찻잔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 그리고 예술과 기능의 만남을 상징하는 작품이었다. 그 자리에서 나는 차 한 잔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기며, 그의 작품 세계에 더욱 더 관심있게 보게 되었다.
이렇게 홍우경 작가의 첫 칠기 찻잔은 단순한 물건을 넘어, 하나의 이야기로, 하나의 예술로 자리 잡았다. 그의 열정과 창의력은 전통 도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었다.
https://youtube.com/shorts/wbgHKrx9sxE
-
'차를 향한 눈 > 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우연담 인터뷰를 시작하며 (0) | 2015.04.26 |
---|---|
[인터뷰] 차의 품종 연구로 만든 윤여목의 홍차 (0) | 2015.04.13 |
[인터뷰] 골동 보이차 유통의 전문가 김경우 (1) | 201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