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쿠스이엔(樂水園, 락소원)

[라쿠스이] 樂水園
하카타 상인의 멋, 다도를 즐길 수 있는 일본 정원. 역에서 가까운 곳 호텔에서 걸어서 15분 거리에 낙수원이 있었다.

입구에는 락수원 깃발이 있었고 정문으로 들어가는 옆 돌담이 예사롭지 않았는데, 그 돌담은 ‘하카타베이’라고 한다.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상인들의 마을 하카타를 전쟁 후의 재난으로부터 부흥시키기 위한 계획(일명 다이코초와리)을 세웠을 때, 신사 또는 불각이나 거상의 저택에 지은 흙담이다.

전화로 인해 타다남은 돌이나 기와를 점토로 굳혀서 만든 것으로 [히카타 베이]라고 한다. 이 돌담을 지나서 들어서면 입장권 판매소가 있다. 입장권과 차 값을 내고 정원을 볼 수 있고 다실에서 차를 마시게 된다.

임형택 원장과 함께

차정원 스이킨쿠쓰: 차를 통해 전해지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차 정원이다. 사계절의 변화를 그대로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한 쪽에는 작은 계곡물이 수량이 좋게 내려오는 것을 볼 수 있고 연못에는 비단잉어가 놀고 있다.

화로가 있는 일본 방

이름의 유래: [라쿠스이] 樂水園는 히카타의 상인이었던 지카마사 씨의 아호이다. 2대에 걸친 가업을 이어 후쿠하카(후쿠오카와 히다카)의 발전에 공헌한 인물로서 1906년 현재의 스미요시 별장을 지었다. 후에 다실을 만들고 자신의 아호[라쿠스이]라고 불었다.

락수암(樂水庵)

현재 라쿠스이를 복원하여 [라쿠스이안, 락수암]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에서 임형택 원장과 박선생, 필자, 남자 셋이서 모지코(門司港)에 있는 마츠모토 히로코 선생 댁, 하츠가마 차회 참석을 마치고 다음날 이곳에 방문하여, 그 시대 차인의 인물을 생각하며 복원된 차실 락수암에서 말차를 마셨다.

한국에서 늘 바쁘게 살면서도 이런 시간을 내어 차를 지극히 좋아하는 남자 셋이서 이런 자리에서 차를 마시고 정원을 거닐면서 일본은 이렇게 다도의 세계를 꾸며 놓았는데, 한국식으로는 어떻게 펼치면 좋을까를 서로 의논하며 좋은 시간을 가졌다.

유튜브 다석TV https://youtu.be/YM2tTT8HNnU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섭영지(葉榮枝)

명가원(대표 김경우)은 개업한 지 20년이 지나면서, 안국동에 한옥으로 된 멋진 차 공간을 새로 마련하여 19일 오픈하였다. 오픈 기념으로 홍콩에서 차문화 연구에 저명한 학자 葉榮枝(섭영지) 선생 초청 특강을 성황리에 마쳤다. 차회는 찻자리 세 곳에서 80년대 말 8582, 50년대 람인철병을 마셨다.

보이차의 전생과 금생

강의 내용에서 섭영지 선생의 아버지가 중의(한의사)였는데, 아버지께서 말씀하시기를 보이차는 정기(正氣)’로 기()를 바르게 해준다고 하였다. 집에는 늘 물병에 보이차가 가득 담겨있었다는 말로서 보이차와 동양의학의 깊은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섭선생은 보이차가 약은 아니지만, 연구결과에 따르면 심혈관계에 많은 도움을 주는데 이 기능은 다른 차에도 있는 공통점이지만 보이차는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주고 차를 만들고 난 뒤 후발효가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보관하는 장소와 기후, 미생물의 작용으로 인해서 많은 변화가 있는데 이런 과정에서 생기는 요소들이 장수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진다고 하였다.

차회 모습

두 번째는 운남지역은 명대 이후 본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백은, , 주석의 광물들이 운남에 매장되어 있는데 광물을 개발하면서 자연스럽게 운남도 발전하였다. 청대 옹정 때에 본격적으로 운남 차산지를 개발하게 된다.

80년대 말 8582

청대에 외서 중원지대의 주민들을 운남으로 이주시킴에 따라 사람과 기술이 운남으로 이동하면서 차에 대한 지식이 운남에 전달되었다. 청대 말기에는 30여 개 업체가 제조를 하게 된다.

50년대 람인철병

보이차의 이동 경로에 대한 노선은 크게 세 군데로 어린 찻잎은 차마고도를 통해서 운남에서 산을 거쳐 사천이나 청해로 가는 길은 소수였고, 주요한 노선은 미얀마의 강을 기점으로 해서 티벳까지, 또 다른 노선은 란창강 수로를 통해 하노이를 거쳐 홍콩으로 들어갔다. 특이한 점은 육로를 통한 것이 아니라 수로나 해로를 통해서 이동되었다는 점이다.

다양한 차도구
차도구

해방 이후 물산이 풍부한 광동 지역에서 청차가 발전되는 시기에 국가에서 계획경제를 위해 외화벌이 목적으로 차를 수출하는 전담부서 생겼고, 그로 인해 일어났던 사건들을 상세히 설명해 주었다.

김경우 대표

보이차 전문점으로 출발하는 안국동 명가원은 찻집으로도 운영된다. 예약제를 기본으로 하며, 90년대, 80년대, 70년대 보이차를 맹해정창으로 마시고자 할 때, 6g12g을 기준으로 가격표가 나와 있다.

90년대 차는 6g 기준으로 5만원에서 16만원, 80년대 후지7542 19만원, 상검8582 29만원, 7572 8만원 등이다. 대관 문의 및 예약(02-736 5705)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이용을 바란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다즐링 홍차와 티푸드

푸른 응접실의 홍차 박정아 대표가 내는 '다즐링 홍차' 맛있게 우리는 방법을 다석TV에서 담았다.

티룸에서는 계절티푸드를 테마로 준비하는데, 준비한 티푸드는 하우스딸기철이라서 딸기를 내었다. 봄3~4월에 생산되는  싱그러운  다즐링과 잘 어울릴거라하며, 싱그러운 다즐링이 생산된 봄을 상상하시면서 즐기면  좋을것 같다고 한다.

인도 다즐링을 넣고 3분 모래시계로 측정후 우려내는 노하우를 유튜브 다석TV에서 볼 수 있다.

푸른 응접실의 홍차 박정아 대표 https://youtu.be/oXCl3JrnRWY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맷돌에 말차를 가공하는 공정, 예화당 배현

부산 예화당에서는 말차의 원재료를 수입하여 맷돌로 직접 가공하여 제품화하는 곳이다. 한국에서 말차를 마실 때 가장 신선한 제품을 만날 수 있다. 이번 다석TV에서 말차의 맷돌 가공 과정을 예화당 배현 대표의 설명으로 진행 되었다.

유튜브 다석TV https://youtu.be/OJV_ZXX5f9g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차박사 김영숙

차박사 김영숙

철관음 다예표연을 발표하는 차박사 김영숙 원장. 2001년 7월 5일 서울 종로에서 <중국다예연구중심>을 개원하여 국내 최초로 한국에 다예표연을 보급하였다. 다석TV에서 중국다예표연을 정식으로 발표하는 모습을 독자에게 보여준다.

유튜브 다석tv https://youtu.be/hioBSBuXHR8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초청 강사:: 葉榮枝(섭영지)

서울 안국동 전통 한옥에 명가원(대표 김경우)에서 새로운 예술 공간을 만들었다. 보이차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면서 찻집(예약제)으로도 운영된다. 기존 명가원은 현 위치에 그대로 있고 새로 개업 한다.

차회는 80년대 말 8582와 50년대 람인철병이다. 오픈식 행사를 겸한 세미나 참석과 차회는 보이차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문화적인 공부와 50년대 람인철병의 고미를 즐길 수 있다.

찻집 메뉴는 보이차와 청차가 있다. 보이차(90년대 이전 맹해정창, 인급차, 호급차)

청차 메뉴는 대만의 목책철관음과 동방미인, 복건성의 무이암차 등이다. 

연락처: 02) 736-5705

주 소: 서울시 종로구 윤보선길 19-18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향 문화의 중심 '일지 一枝'

향 전문점 '일지"가 2020년 1월 6일 이전 개업한다.

영업시간: 월-토요일 오전 11:00-19:00

찾아가는길: 서울 종로구 율곡로 3길 75-4

문의: 02-730-9998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목차

발행인의 변 16

표지 해설/철병 이원제 소장 18

차도구 감상 / 백자 화병 20

차도구 감상 / 건요 천목 22

모방과 창조 24

우롱차의 공정 및 특징에 관하여 30

차도구 컬렉터 42

중국의 보이차 거래 플랫폼 동화차엽 48

석가명차 오운산 중국 광서성대리상

종화봉 선생 인터뷰 64

아사가 차관

4회 경주세계차문화축제와 황용골 차회 72

씨스네 티룸 82

백년보이흑번홍 88

김경우의 보이차 노트 96

김경우의 노차품감회 99

보이차 감상

여여해 100

도림원 102

다화담 103

용생보이차 104

장도원의 향, 찾아가는 길 106

차문화 행사

공부차 삼학육보차 평차회 108

7회 무이암차 무이성 대홍포 품다회 110

일희다회 초청 중국 각다도전승문화센터 112

13회 고전문화 소장품전 114

일본 전다도 히가시아베류 115

발행인의 변 -

현대 보이차 유통을 평정한 동화차엽플랫폼  동화(東和)의 출현이 주목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이유 때문이다.

첫 번째로는 보이차의 유통 시장에서 정보의 불균형이라는 현상을 해소하고 정보를 공개하면서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인포메이션 플랫폼을 구축한 것과 두 번째로는 그동안의 전통적인 공방, 즉 노차(老茶)에 대한 진품과 가품이 혼재하는 시장의 현상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였다는 것이다.

필자가 동화차엽을 세 번째 방문하면서 진군일 대표의 인터뷰와 함께 그동안 취재한 내용을 종합, 다음과 같이 기사를 내게 되었다. 이는 2020년에 한국에서도 동화와 같은 유통 플랫폼을 운영하게 되는 점을 확인하고 한국에서도 투명한 유통 플랫폼이 성공적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의미도 함께한다. 보이차의 유통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진품과 가품을 확인하는 작업

그동안은 중국 본토에서조차 보이차의 유통이 투명하지 못한 가운데 보이차를 음용하는 계층에서는 항상 불신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오랜 세월 노차에서 진품과 가품에 대한 불신, 가격에 대한 불신이 있었던 것인데,

이는 시장에서 가품 유통 등에 대한 철저한 규제가 따르지 않았던 것이 그 이유일 수 있다. 그러기에 우스갯소리로 보이차는 두 가지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는 말도 성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이차는 몸에 좋다는 인식이 있었기에 보이차는 건강에 유익한 차라고 인식이 굳어져 있으며, 또 중국 인식 가운데 세월이 오래되면 돈이 된다는 인식도 있다.

동화는 위와 같은 인식을 저간에 두고 중국 사람들조차 가장 돈이 안 된다고 생각해 왔던 2000년대 이후 차, 그중에서 노차를 즐기거나 고수차를 마시는 사람들이 중론으로 외치던 대익보이차에 대한 저평가된 인식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대익보이차는 중국에서 새롭게 보이차에 대한 인식을 만들어 내고 있는 기업이다. 또 다른 면으로는 전통시장에 대항하여 나타난 신흥세력이기도 하며, 지금까지의 고정관념인 오래된 차가 좋다는 인식을 뒤바꾸려 노력하는 회사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통적인 다른 보이차들과의 변별점, 또는 노차와의 가치 평가에서 많은 핸디캡을 가진 것도 사실이다. 더 나아가 대익의 상표를 달고 있음에도 표지로 구분 못 하는 가품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욱 치명적이었다.

그런데, 보이차 계에 해성같이 나타난 동화차엽 진군일 사장의 보이차 유통 플랫폼은 투명한 검사와 투명한 거래 방식으로 그간 약간의 불신과 투자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대익보이차에 대한 인식을 100% 뒤집고 신경영 방식을 통한 투명한 플랫폼으로 중국 내 유통의 중심에 섰다.

동화에는 팔고자 하는 차가 접수되면 담당자가 정해지고 담당자의 책임하에 검사를 진행한다. 한 편이든 한 통이든 한 건이든 모두 전수검사를 한다. 대나무 껍질로 포장된 차를 풀어서 한 편씩 외관과 내품의 향을 맡으면서 검사를 마치고 동화에서 검사를 마친 도장을 찍은 후 유통 금액을 정하고 동화 사이트에서 거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1건에 1억이든 10억이든 차가 거래되는 동화차엽에서 보이차 유통의 거대 시장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이차의 유통 시장에서 가격이 많이 오른 차들의 짝퉁을 유통하는 문제로 인해 늘 불신이 함께하였는데, 그러한 차들을 동화에서 자체 검사하여 진위를 밝혀내고 그대로 인터넷상에서 유통시켜 주는 플랫폼의 완성은 보이차 시장을 더욱 크게 확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프닝은 중국에서 스스로 만들어 낸 시장구조의 문제 때문에 불거진 재차검증의 시스템이다. 또 이러한 시장의 고조 덕분에 우리도 상당한 피해를 받은 것 또한 사실이다.

이렇게 자기들 스스로 검증을 통해 믿고 사서 음용할 수 있다고 하니, 이는 중국 스스로 만들어 낸 자업자득인 셈이다. 그러나 이는 비정상적인 시장의 혼란 덕분에 생긴 일이니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검증 절차로 인하여 더 부가되는 비용까지 지불하고 싶지는 않은 것이 사실이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