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산 통도사 성보 박물관 옆에서
제자와 함께 여행하는 자리에서도 스승은 늘 제자에게 바른 길을 일러 주려고 한다. 국적이 다르면 문화도 다르지만 차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한 길이라고 생각하였는지 스승은 한국에서 평범한 물 바가지를 이용하여 물을 마시기 전 씻는 자세를 가르쳐준다.
물바가지를 헹구어 내며 옆의 공간에 물을 부셔버리는(쏟아). 행위와 다른이에게 물이 튀지 않고 자신 앞으로 손잡이까지 씻어 내며 물을 흘려버리는 것은 결국 나 이외에 다른 이들까지 배려하는 행동이다.
우리나라는 여러모로 급하게 변화되는 사회변동을 겪다보니 전통속에서 그러한 여유와 베려에 대한 행위는 거의 잊혀지다 시피했다. 우리네 전통속에 어찌 그 선생의 행위와 같은 것이 없으랴. 새삼 선생님의 행동으로 그 옆을 지나던 이까지도 한 수 배울 수 있으니 차인의 행동은 그야말로 이 사회에서 맑은 물 한자락, 청명한 한 줄기 바람아니겠는가. 작지만 큰 행동에 그저 스승님께 머리숙여 감사할 뿐이다.
2004.09.22
--------------------------------------------------------------------
중국 동계경 절강대 전 교수와 중국다예연구중심 원장 김영숙, 그리고 회원 두 분과 함께 통도사 성보박물관 초청 강연에 참석하여 강연 전 박물관 앞에서 물 한 잔 마시러간 자리에서...
'차를 향한 눈 > 찻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찻자리] 보이차 마시는 하늘연꽃 (0) | 2008.01.29 |
---|---|
명가원 카페 회원 초대 찻자리 - 쌍화보이차 (0) | 2007.12.23 |
[무아차회] 2009년 개최국으로 미국 “센프란시스코” 선정 (1) | 2007.10.16 |
[특별한 찻자리] 세계 11개국에서 참가한 무아차회 찻자리 (0) | 2007.10.16 |
무아차회 한국국제대회 (0) | 200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