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당의 후계자 강옥희 선생

차과연 茶果緣 차회

금당 최규용 선생이 남긴 차도구로 후계자 강옥희 선생 차를 내다.

일시 : 6월 28일 13시~15시 
장소: 부산 금당차문화회

인원: 8명(접수 선착순 마감)

회비: 20만원

문의: 010-4780-6535

금당차문화회 대문

<금당 선생님의 유지를 받드는 집>

우리나라 근대 차문화사에서 중요한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금당 최규용 선생을 떠올릴 것이다. 

선생의 후계자이자 자부인 강옥희 금당차문화회 회장은, 그 유지와 정신을 이어가며 오늘날까지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대문에는 ‘금당차문화회’라고 문패가 달려 있고, 안으로 들어가니 역사를 안은 공간이 나온다. 그 공간에서 차 역사에 남을 많은 일들이 거쳐 갔고, 한국식의 차수업이 진행되었고, 손님에게 차를 대접하는 장소로도 쓰였다.

후계자인 강옥희 회장은 오래도록 우리나라의 기물을 찻자리에 녹여내었고, 지금도 우리 차문화가 나가야 할 방향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금당 선생이 남긴 차도구로 차회를 진행하는 것은, 
우리 역사의 큰 변천 속에서 잊혀지던 한국 차문화의 뿌리를 이어지게 한 금당 선생의 업적을 다시 되새기고자 함이다. 

척박했던 한국차 흐름을 일궈 오신 그 아름다운 정신이, 현재의 우리에게 어떻게 안겨올 지 기대하게 되는 찻자리이다.

PS금당 최규용 선생이 남긴 차도구로 진행하는 차회는, 

중요한 유품을 감상하는 시간이 목적이라서 마시는 차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문의가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녹차와 말차를 기본적으로 하며,  그 외 몇 가지 차에 대해서는 별도로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차과연”에서 나오는 차는 “이런게 차다”라고 말할 수 있는 차(茶)를 만날 수 있습니다.

 

 

 

'차과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과연 가을차회 동춘차와 고려단차  (0) 2024.11.01
동춘차 햇차와 고려단차 차회  (0) 2024.05.15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금당 최규용 다비, 헌향 헌다 헌시.

초록 버들과 연분홍 벚꽃이 잘 어울려 도시의 봄은 마치 한폭의 비단처럼 아름다운 계절입니다. 건강하게 잘 계시는지요. 코로나 펜데믹으로 20주기 추모행사의 준비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 보내주신 추모의 글과 중국 호북성 천문 육우다경회에서 보내주신 추모글을 대독하며 오늘 뜻깊은 추모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헌향과 헌다, 헌사와 헌악을 통해 금당의 정행검덕의 정신을 되세기면서 오심차람(吾心茶藍) 다의로 차 한잔 올립니다.

21주기에는 다함께 행복한 청매화를 올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동안 더욱 더 청안하시어 뜻있는 바 크게 성취하시길 기원합니다.

금당차문화회 강옥희

강옥희 회장, 오심차람다의

추모제(오전1112) 식순 --------------------------

사회/이영구(, 부산 MBC아나운서 실장, 불교방송 총괄국장)

헌향: 최창주(금당 최규용선생 유족대표)

향사: 무성 정재헌 ()한국향도협회 이사, 우해요 대표)

명성 이향지(금당차문화회 금선다도회 지부장)

3. 묵념(선고 차인 및 금당 최규용 선생)

4. 추모사: 명노 윤석관(원로 차인)

류건집(서산포럼 지도교수)

5. 헌다: 내빈 대표

6. 헌화: 김제영(금당차문화회 자문위원)

7. 헌시: 차샘 최정수(한국 홍익차 문화원장, 차문화 시인)

노명고(중국 호북성 천문시 육우연구회)

8. 헌악: 가야금 앙상블 금원풍류/대표 최미란(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강사)

장구.송강수(부산시립관현악단 수석)

9. 헌다: 금당차문화회 회원 및 참석자

진행위원: 명선 이향지, 명산 정영숙, 명주 최일주, 가천 강미화, 명우 이정수, 인설 박미숙, 되희 서희자, 화정 고영옥, 금랑 이숙자, 혜명 김현숙

https://youtu.be/ozwOr3hd9Cw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지난 4월 2일 부산 구덕문화공원 금당다비 광장에서 금당 최규용 선생의 9주기 추모 헌다식이 열렸다. 이날 헌다식 준비는 부산 지역 차인들의 정성이 큰 힘이 되었고, 최창주 유족 대표의 헌향과 헌다례 등으로 진행되었다

.

헌다식은 금당 茶人 기념위원회, 금당 차문화회(원장 강옥희, 사진 위), 한국육우다경연구회 주관.



1. 헌다례(獻茶禮)
①초헌-윤석관(죽로다문화원 고문) ②아헌-이미자(사, 부산차문화진흥원 회장) ③종헌-김태곤(사, 태정예다악문화 협회장)
2. 헌화(獻花) - 문상림(잎사귀 회장)
3. 헌다(獻茶) - 금당차문화 회원
4. 헌악(獻樂) - 최미란(부산대 강사, 가야금)
5. 헌시(獻詩) - 이종원(시인)
6. 헌무(獻舞) - 신혜숙(부산민속예술단, 무용)
7. 참석자 헌다 및 헌화
8. 들차회 - 茶啖會(금당차문화회, 금아다례원, 반야다례원) 

[사진 위, 명로 윤석관(죽로다문화원 고문)]

[사진 위, 김태곤 태정예다악문화 협회장]

행사장에서 금당 선생 생전에 작성한 “금당 茶道 사범증” 수여가 있었다. 김중한 동의대 교수 앞으로 작성된(2001년) 사범증이 최근 발견되어 헌다식에서 전달되었다.

금당 최규용 선생 약력 및 공적
1903년 경남 통영 출생. 1923년 일본 와세다 대학 고공토목학과 졸업.
1963년 고려민예사 설립. 1978년 금당 차회 조직, 다도 교육시작. 1988년 한국 육우다경연구회 창립. 1989년 중국 차문화 연구회로부터 다성(茶星) 칭호 받음. 1993년 최의 학술상. 1998년 중국 정부에서 항주 茶人 촌에 “喫茶來”와 금당 선생을 새긴 공덕비 건립. 합천 해인사 지족암 '끽다거래(喫茶去來)'건립

2000년 중국 호북성 호주시 남부현 묘봉산 “喫茶來”비 건립. 2002년 4월 5일 청명날 100세로 세상을 떠남. ‘부산차인연합회장’으로 장례식, 사리 36과 수습.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2008년 1월 부산에 있는 강옥희 원장으로 부터 금당 최규옹 선생(1903~2002)의 한국차를 마실 때의 찻자리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다. 금당 선생님은 우리나라 전통차 보급에 기여한 바가 크며 평소 차생활에서는 찻그릇 자체에 비중을 두기 보다는 차를 많이 마시는 것을 좋아하셨다고 한다. 금당 최규옹 선생의 대표적인 저서는 금당다화가 있으며 강옥희 원장은 금당 선생님의 며느리로서 현재 금당차문화회 원장이다. 부산에서 차 활동을 하고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