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혜원 차회 입구

 

일년에 한 번 하는 차회가 통도사 인근 한옥에서 있다는 소식을 오래전부터 들었다.

필자도 언젠가 기회가 있다면 참여해 보고 싶었는데, 이번 주신자 선생님의 초대로 50명 초청의 오전 오후로 나눈 오전반에 참여하게 되었다. 5명이 한 조로 D조에 배정을 받았는데, 우리 팀에 교사와 교수, 남자 두명이다. 필자는 미리 양해를 구하고 사진은 모두 제가 찍고 나중에 드릴 테니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지 말자고 했다.

 

소혜원 한옥

 

울산역에서 택시로 가서, 처음 차에 내려서 위치를 알 수 있을까 했는데 마침 먼저 차에서 내린 분을 따라 가면서 초입에 차회라는 글을 보고 쭉 올라갔다. 10분정도 걸어가니 대나무 가 많이 자란 대문에 차회라는 글씨를 보면서 소혜원 차회 집임을 알게 되었다.

 

소혜원 한옥에서 정갈한 정원, 마당에는 다양한 꽃들이 계절을 맞아 흐드러지게 피어 있었다.

 

게이샤의 추억 방에서 게이샤 커피를 설명하는 스님

 

처음 안내받은 곳은 불도장이라고 하는 방에서 불도장 요리를 먹고 다음에는 게이샤의 추억, 방에서 비구니 스님이 내어준 귀한 커피를 즉석에서 원두를 갈고 청대 커피잔에 마실 수 있었다.

 

오! 컬러풀 방, 주인(혜원정)이 잠시 들어와서 인사를 나누었다

 

다음 방에서는 식사를 하는데, 흔히 볼 수 있는 동으로 만든 식기가 아니라 은으로 밥그릇, 국그릇, 찬그릇이 세트로 되었다. 옛날 남자들이 밥을 많이 담아먹는 크기의 그릇에 금박을 올린 밥과 주먹밥3개가 매실 장아찌와 같이 담아져 있는데, 처음 먹어본 음식이지만 상당히 맛있게 먹었다.

아름다운찻자리, 소혜원 금밥

 

리큐에게 물어(말차방)

 

그리고 또 다른 건물에 있는 곳으로 이동했는데, 그곳은 리큐에게 물어라는 팻말이 있었다. 바로 짐작하기를 말차를 마시는 곳임을 알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말차를 주관하는 회원 세분이 입구에서 안내를 했고, 방에 들어갔는데, 이자현 원장과 말차를 내는 회원이 있었다. 자리에는 찹쌀떡 같이 만들어진 형태에 각기 다른 과일이 들어 있는데 필자에겐 퀴위가 들어있었다. 놓여진 상은 오방색을 활용하여 만들어졌고각상에 먼저 다식이 놓였다말차를 내는 분의 모습을 보면서 사진을 담았다.

 

리큐에게 물어라 방

 

조금은 경직된 동작이지만 다섯 손님을 맞이하고 이런 중요한 행사에서 맛있는 차를 낸다는 것이 결코 쉬운 것이 아닌데, 오모데 말차 다법에 준하는 방식으로 1번 손님께 직접 차를 내고 그 외는 별도로 준비한 말차를 내었다. 필자는 이곳에서 전화상으로 대화를 했던 이자현 선생님을 만났고 그의 제자들의 활동을 볼 수 있었다는 것도 좋은 기회였다.

 

중국차 방, 남록 이춘현 선생

 

이후 중국차 방으로 이동하여 남록 이춘현 선생님이 준비한 대만 오룡 노차를 마셨다. 이 오룡차는 필자가 잘 알고 있는 차였는데 첫 잔에 바로 알고 마셨다. 그 다음으로는 복수산 오룡으로 신차였다. 찻잔의 형태와 차를 내는 기물들을 보면서 스스로 좋아서 이런 자리에서 봉사하는 마음으로 나선 것으로 보였다.

 

소혜원 차(석우미디어 동영상)

 

아름다운찻자리 다섯 자리를 경험하고 주인에게 인사를 건네고 돌아오는 길, 우리나라도 이제 일본의 찻자리 방식에서 변화를 가지려고 노력하는 면모가 많이 보인다. 아직은 우리식의 찻자리라고는 말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전의 역사적인 찻자리 문화에 대해 되짚어 보면 그 또한 답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식이라고는 하지만 아직도 우리식의 개선과 정례화는 갈길이 멀다고 하는 생각들이 통론이다. 이에 모방에서 개선으로 진행되는 우리 찻자리 만들기의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과도기라는 말로 개선의 시간을 두고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많이 발전했다. 그대로 가져다가 우리 것이라 하는 사람도 있었던 시절을 넘어 노력하고 있으며 차회가 조금씩 내외적으로 발전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니 그렇게 확인하는 시간이 좋았고 앞으로 더 발전할 것이라는 점에서 내년을 기대하게 된다.

 

소혜원 차회는

<아름다운차도구 11호에 상세히 나온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