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덕산 선생의 대익차 설명

덕산 차회 세 번째 기록
덕산 박규용 선생 주관의 세 번째 차회가 송년 차회를 겸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차회에는 부산대학교 대학원 차문화학 전공 학생들이 다수 참석하여 활기를 더했다. 

일시: 2024년 12월 20일(금) 14시
장소: 대익차 통도사점 2층 
주제: 대익차 공작시리즈

오프닝 차는 문산포종(두등) 
1. 7542(501) 백포조
2. 7742(501) 특제청병
3. 금색운상(501) 황병
4. 오금호(501)

행사는 문산포종 두등장을 오프닝 차로 즐기며 시작되었다. 이후 대익차의 공작 시리즈에 대한 개념 설명이 이어졌고, 지난 차회에서 마셨던 차의 생산 계통을 쉽게 요약해 설명했다. 이러한 정보는 일반적인 차 전문점에서는 접할 수 없는 내용으로,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2000년대 이후 대익 보이차 유통 전문성을 갖춘 덕산 선생의 경험에서 비롯된 알찬 해설은 보이차 가격의 변동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었다. 출고 가격과 급등했던 시기, 현재 중국 차 시장의 흐름에 대한 자료와 사진이 함께 제공되어 참석자들의 이해를 돕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차를 깊이 이해하고 마시지 않는 참석자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손님도 함께 했다. 대익차 전문점으로서 차의 등급과 내용을 구분하여 맛을 음미하는 방식은 참석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차회 후에는 송년 차회를 기념하여 인근 식당으로 옮겨 식사를 마치고 와서 와인 파티가 열렸다. 와인 전문점에서나 볼 수 있는 와인 글래스와 다양한 안주가 제공되었고, 차학과 석사 및 박사 재학생들 간의 논문에 관한 학구적인 대화가 이어져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https://youtube.com/shorts/X_JBAjSRaFc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개봉 차회를 한 대익보이차

2024년 10월 18일, 
통도사 앞 백비헌에서 처음으로 차회를 개최하였다. 참가비는 7만 원이었으며, 18명의 참석자가 함께했다.
최근 전국적으로 차회가 유행하면서, 각자의 차회가 주인의 눈높이와 수준에 맞춰 준비되고 있다. 

덕산 박규용 대표

덕산 차회는 이병인 교수의 인사말로 시작되었으며, 4개의 테이블에 4명과 5명씩 앉아서 진행되었다.
이번 차회의 중심은 2000년 이후 보이차에서 덕산 선생이 선정한 대익차의 호급차다.

차회 분위기

워밍업으로 대만 동정오룡을 마시며 참석자들의 기대감을 높였고, 대익보이차의 가장 강한 네 가지를 시음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다. 보통 한 번에 이처럼 강한 차들을 모두 맛보는 것은 드문 일인데, 이는 대익차 유통에 큰 상인으로서 기획된 특별한 구성이었다.

4인 탁자

이번 차회의 하이라이트 헌원호와 오금호였으며, 마지막 열탕에서 5분간 우려낸 차는 이전 차들과 유사한 밀도감을 유지하면서도 깊고 훌륭한 맛을 내 참석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참석자들은 부산, 울산, 울진, 영주 지역에서 온 차인들과 통도사 은근 대학원생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덕산차회의 첫 시작을 기념하며 뜨거운 박수를 보냈다.

백부송(다음카페 보이차 연구소) 운영자

덕산차회는 보이차와 오룡차를 중심으로 한 깊이 있는 차 경험을 통해 차회 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WT. 최고급 청차
1.창힐호(2021년)
2.군봉지상(2020년)
3.헌원호(2017년)
4.오금호(2005년)

2005년 오금호

차회에서 정품 논란이 제기 되었다.

차회를 시작할 때, 처음 개봉하는 차라서 차 맛이 제대로 나올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야기했다. 근데 막상 차를 내고 차회가 진행되는 가운데 마지막에 나온 2005년 오금호 차를 한 분이 본인이 집에서 마시는 차맛과 다르다고 해서 진위여부에 논란이 있었다. 

차회를 주관한 덕산 선생은 보이차를 중심으로 1년간의 차회 일정을 밝히고 시작한 첫 차회에서 정품이 아닌 차를 낸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다.상황에 오금호 차가 정품이 아니라고 차회에서 마시지 않고 주변에 같이 앉은 분들에게도 공개한 일은 너무 성급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덕산 선생은 이번 찻 차회를 위해 정확한 경로를 통해서 오금호를 구매하여, 개봉하였기에 맛이 다를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은 지극히 개인적인 판단 일 수 있다.

차회를 마치고, 덕산 선생과 함께 소장하고 있던 (20g 밖에 없어서 새로 구입) 오금호를 시음하였다. 

차회에서 마신 차는 송연향이 약하고 차성이 강했다면, 기존 마시던 오금호는 완전히 다른 맛이라고할 만큼 송연향이 부드럽고 맑은 맛이다. 이런 사실은 덕산은 잘 알고 있기에 서두에 이부분은 밝힌바 있다.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