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린 두 악사 樂士

여기 올린 당삼채唐三彩 인형人形. 익살스러운 몸짓에 서로의 표정은 대조적이지만 정감 어린 두 악사樂士의 모습에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자기들 만의 즐거움과 생동감이 넘쳐난다. 실제 크기는 손가락 한 마디에 불과한 작고 앙증맞은 토용土俑.

또한 시대와 출신지는 서로 달라도 각양 각색의 포즈로 살아남은 이 완구玩具들 역시 이제 다시는 더 구할 수도 없고 만날 수도 없는 희귀한 출토품들이다.

나는 예술품의 가치를 사고 파는 가격만으로 평가할 순 없다고 늘 생각 해 온 사람이다. 문론 훌륭한 작품은 비싸기 마련이고, 값비싼 작품이 신통 챦을리는 없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도자기든, 그림이든, 민속품이든 순수 무구한 아름다움이 베어있다면 값을 떠나 늘 곁에두고 싶어지는게 사람의 마음 이다.

 

마치 남이 볼땐 별것 아닐지라도 내게는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자식 같은 존재는 나만이 느끼는 깊은 애착이 있기 때문이다. 오늘의 이 소품들도 크기나 값어치로 따지면 하챦게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들 가슴을 설레게 하는 아름다움의 결정结晶임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모두 귀한 신분을 지닌 이의 무덤에서 나온 배장품陪葬品들 이지만 안타깝게도 2~30년 전에는 골동시장 난 전에서 이리저리 굴러 다니다 값비싼 큰 기물을 사고 파는 자리 에서 가치도 없이 끼워주는 장난감에 불과했다. 나 역시 이것들을 얼마에 싼 건지 기억도 없다.

 

아마도 큰 작품 한두 점 흥정하며 싸잡아 주워온 물건이었을 것이다. 이제 와 무심코 씻고딲고 다시보니 금옥金玉보다 귀한 것을.. 참으로 간사한 게 인간의 감정이다. 예들이 그나마 내 손에 들지 않았으면 지금쯤 어찌 되었을까? 어느 이름모를 길바닥에 버려졌을지도 알수없는 운명..생각만 해도 썸뜩 하다.

그러나 어이하랴

세상만사 회자정리会者定离.

이제는 순장殉葬도 없으리니 너희들 운명도

내 살아 생전 뿐이로다.

痛哉

https://youtu.be/3WlDModFA-c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당삼채 기마

중국도자문화 84회 촬영을 마치고 김덕기 박사님과 짧은 인터뷰를 했습니다. 말씀 가운데  박사님은  중화문명을 접한 세월이 30여년이 되었는데 인류가 만든 예술품 중에서도 특히 이 천리마 한쌍을 볼 때마다 가슴이 떨리고 감격한다고 합니다. 중국 예술품에 관심 가진 분들에게 좋은 영상을 소개합니다.

 

당 삼채 천리마 해설(김덕기 박사)

내가 중화문명을 접한 세월이 30여년.

인류가 만든 예술품 앞 에서 이처럼 볼때마다 가슴을 떨며 감격한 작품 은 이 천리마 한쌍이 처음이다. 이 암수 두 종류의 骥馬 (기마: 천리마)는 필시 나라 전기의 황실이나 귀족의 무덤에 순장 했던 두번 다시 만날수 없는 희귀한 극품이다. 실물을 볼수없는 분은 영상이라도 다시 한번 살펴 보시라.

당삼채 숫말의 안장

별일 없이 소일하며 다소 여유를 부리고 있는듯한 검은 말이 숫놈이고,사치 스런 치장으로 고개를 비껴 멋을 뽐내고 있는 흰말이 암놈이다. 동물이지만 성정을 짐작할 수 있으리만치 생동감이 넘친다.

 

자토瓷土가 아니고 도제로 빚은 당 삼채는 실제로 봉건사회의 순장殉葬 풍습을 종결 시킨 배장용 陪葬用 명기冥器로 중국 채자彩瓷의 시원이요 각종 동물과 인물 의 사실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한 조소雕塑의 전범典范이 되었다.

https://youtu.be/-yj_RC_MTOM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