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린 두 악사 樂士

여기 올린 당삼채唐三彩 인형人形. 익살스러운 몸짓에 서로의 표정은 대조적이지만 정감 어린 두 악사樂士의 모습에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자기들 만의 즐거움과 생동감이 넘쳐난다. 실제 크기는 손가락 한 마디에 불과한 작고 앙증맞은 토용土俑.

또한 시대와 출신지는 서로 달라도 각양 각색의 포즈로 살아남은 이 완구玩具들 역시 이제 다시는 더 구할 수도 없고 만날 수도 없는 희귀한 출토품들이다.

나는 예술품의 가치를 사고 파는 가격만으로 평가할 순 없다고 늘 생각 해 온 사람이다. 문론 훌륭한 작품은 비싸기 마련이고, 값비싼 작품이 신통 챦을리는 없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도자기든, 그림이든, 민속품이든 순수 무구한 아름다움이 베어있다면 값을 떠나 늘 곁에두고 싶어지는게 사람의 마음 이다.

 

마치 남이 볼땐 별것 아닐지라도 내게는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자식 같은 존재는 나만이 느끼는 깊은 애착이 있기 때문이다. 오늘의 이 소품들도 크기나 값어치로 따지면 하챦게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들 가슴을 설레게 하는 아름다움의 결정结晶임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모두 귀한 신분을 지닌 이의 무덤에서 나온 배장품陪葬品들 이지만 안타깝게도 2~30년 전에는 골동시장 난 전에서 이리저리 굴러 다니다 값비싼 큰 기물을 사고 파는 자리 에서 가치도 없이 끼워주는 장난감에 불과했다. 나 역시 이것들을 얼마에 싼 건지 기억도 없다.

 

아마도 큰 작품 한두 점 흥정하며 싸잡아 주워온 물건이었을 것이다. 이제 와 무심코 씻고딲고 다시보니 금옥金玉보다 귀한 것을.. 참으로 간사한 게 인간의 감정이다. 예들이 그나마 내 손에 들지 않았으면 지금쯤 어찌 되었을까? 어느 이름모를 길바닥에 버려졌을지도 알수없는 운명..생각만 해도 썸뜩 하다.

그러나 어이하랴

세상만사 회자정리会者定离.

이제는 순장殉葬도 없으리니 너희들 운명도

내 살아 생전 뿐이로다.

痛哉

https://youtu.be/3WlDModFA-c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당삼채 기마

중국도자문화 84회 촬영을 마치고 김덕기 박사님과 짧은 인터뷰를 했습니다. 말씀 가운데  박사님은  중화문명을 접한 세월이 30여년이 되었는데 인류가 만든 예술품 중에서도 특히 이 천리마 한쌍을 볼 때마다 가슴이 떨리고 감격한다고 합니다. 중국 예술품에 관심 가진 분들에게 좋은 영상을 소개합니다.

 

당 삼채 천리마 해설(김덕기 박사)

내가 중화문명을 접한 세월이 30여년.

인류가 만든 예술품 앞 에서 이처럼 볼때마다 가슴을 떨며 감격한 작품 은 이 천리마 한쌍이 처음이다. 이 암수 두 종류의 骥馬 (기마: 천리마)는 필시 나라 전기의 황실이나 귀족의 무덤에 순장 했던 두번 다시 만날수 없는 희귀한 극품이다. 실물을 볼수없는 분은 영상이라도 다시 한번 살펴 보시라.

당삼채 숫말의 안장

별일 없이 소일하며 다소 여유를 부리고 있는듯한 검은 말이 숫놈이고,사치 스런 치장으로 고개를 비껴 멋을 뽐내고 있는 흰말이 암놈이다. 동물이지만 성정을 짐작할 수 있으리만치 생동감이 넘친다.

 

자토瓷土가 아니고 도제로 빚은 당 삼채는 실제로 봉건사회의 순장殉葬 풍습을 종결 시킨 배장용 陪葬用 명기冥器로 중국 채자彩瓷의 시원이요 각종 동물과 인물 의 사실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한 조소雕塑의 전범典范이 되었다.

https://youtu.be/-yj_RC_MTOM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김덕기 박사

지금은 유럽이 세계 도자 시장을 석권하고 있지만 그 출발점은 東洋3国, 즉 中国과 한반도의 기술이 日本을 거쳐 뒤늦은18세기에야 유럽으로 전파 되었습니다. 
   

21세기 첨단과학의 단초를 제공한 도자기는 이제 書畫를 뛰어넘어 예술문화를 선도하는 재화의 수단이 되었으며, 늘 그래왔듯이 재테크의 과정에는 술수가 난무하였고 악화가 양화를 흔들었지요. 그리하여 학구적인 열의보다는 허황된 꿈을 추구하는 이들의 도구로 전락한듯,우리의 고미술계가 점차 불신의 늪으로 추락하는 모양세는 실로 안타깝기 그지 없었습니다.


특히 중국 도자기는 전문가도 드물고,제데로 실물학습을 익힐수있는 곳도 부족한것 같아 나는 늘 선량한 애호가들의 '안식처' 가 되려는 꿈을 그려 왔습니다.

 

이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의 전도사]가 되는 꿈, 그 충동의 실마리를 나는 성심을 다한 공개강좌를 통해 여러분과 함께 실현하고 싶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인생의 길이 달라질수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소중한 인연을 잘 간수하며 아름답게 살고 싶습니다.

       金悳基 合掌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https://youtu.be/SY-W_tQw-OU

명나라 초기 선덕년제
[청화백자 해수운용문 편병]이다.
태질이 순정하고 시유한 백색 바탕이 온화 한데다 기물의 전체를 장식한 청화 발색 역시 푸근하여 아름답기 그지없다

목덜미는 당초문과 
길상吉祥 화훼문을
둘렀고 어깨는 견장문, 몸통 전체는 소마리 青料로 바다의 푸른 파도를 가르며 솟구치는 역동적인 두마리의 龍이 앞뒤로 비늘을 번쩍이며 구름을 이고 있으니 이름하여
青華白瓷海水雲龍纹扁瓶이다

현제 중국 南京박물관에도 이와 비슷한 모양과 크기의 선덕년제 작품이 한점있다.

----

유튜브 댓글

세련된 미나 정교성은 우수해 보이는데 예술성이라는게 그런것보다는 독창성, 개방성, 해학성, 추상성, 창작성, 상징성등등을 고려해보면은 국뽕이라 하실지 모르지만.. -<중략>-

잘모르는 남의나라 도자기보다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도자기들도 소개하실 수 없는지요.

 

댓글에 대한 답변 / 김덕기

사실 고려 청자나 조선시대 자기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흉내낼 수 없는 깊은 정서가 배어있음을 부인 할 수 없겠습니다 서화.건축.공예품 역시 그 섬세하고 질박한 격조는 절로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자연미가 베어있지요.. 순한 마음에서 출발한 艺 보여주기 위한 교묘한 技 차이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우리것이라는 애국적 발로 가 아니고, 손 재주와 심성에서 우러난 내공의 차이로 봐야할 것입니다. 좋은의견 반갑고 고맙습니다. 아울러 명나라 선덕황제는 1326년이 아닌 1426년 부터 시작된 것임을 바로잡습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김덕기 박사

문화의 21세기

새해 새날을 새롭게

맞이하고 싶습니다.

 

어둡고 암울했던

시간들을 밀치고

중화문명과 우리문화의

근본부터 살펴 보는 시간.

 

학교에서는 배운 적도 없고

사회에서도 쉽게 접할수 없는

즐겁고 유익한 학습을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고 싶습니다

 

2022嵗暮八金山美术馆

                  金悳基合掌

문화교양강좌 시간표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Curriculum: 중국의 도자문화( 13강) 강사 김덕기

평소 만나기 어려운 김덕기 박사의 강의가 920일부터 부산의 팔금산미술관강의실에서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석우연담에서 소개합니다. 유튜브에서도 보시는 바와 같이 중국문화에 대한 김박사의 열정과 깊이는 측량하기 어렵습니다. 이번에는 팔금산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실물과 자료들을 직접 보면서 강의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강의 장소는부산의 미술관에서 920일부터 1212일까지 13강이며 별도 문의사항은 아래 표기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수강 신청

매주 월/화요일 : 주간반(오후1시~3시)

                           야간반(저녁 6시~8시) 두 차례 같은 내용으로 강의합니다.

수강 인원 : 주간, 야간 선착순 각 10명(9월 15일 마감)

회비 : 1인 36만원

부산은행 : 104-12-037712-9(예금주 김덕기)

문의처 : 팔금산 미술관

             (051)552-8038, 010-9344-3688

주소: 부산시 동래구 충렬대로 107번길 104

지하철: 명륜역(1호선) 하차 레미안 아이파크 단지 부산은행 미남점 맞은편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 박홍관 - 교보문고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 박홍관 - 교보문고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는 형설출판사에서 발행된, 일명 ‘중국차도감’으로 더 많이 알려진 책이다. 대부분 차 산지를 방문하여 그 지역의 정확한 품종을 확인

product.kyobobook.co.kr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김덕기 박사

Curriculum: 중국의 도자문화( 12강) 강사 김덕기

중국 도자기 전문가인 김덕기 박사는 유튜브 다석TV에서 도자기 애호가로부터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스타입니다. 

평소 만나기 어려운 김덕기 박사의 서울 강연이 4월 8일부터 열린다고 하여 석우연담에서 소개합니다. 유튜브에서 보여주는 도자기의 진품 여부에 관심 있는 분들은 강의를 들으시면서 배워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강의 장소는 인사동 한국향도문화협회 사무실에서 4월 8일부터 7월 1일까지이며, 문의 전화는 협회 사무국으로 하시면 됩니다.

강의 내용

매월 금요일 오후 2시~4시까지(2시간) / 수강인원: 선착순 12명 / 수강료 1인 50만원

기업은행 024-085555-04-015 예금주: 사단법인 한국향도문화협회 문향

문의처: 한국향도문화협회 문향 사무국 02-735-8468

주소: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18 남영빌딩 303호(강남면옥 인사점 3층)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남방 청자(갤러리 고천 소장)

다석TV에서 중국도자기 관련 전문 유튜버인 김덕기 박사는 27-29회 강의에 고미술 갤러리 고천 최영도 대표를 초대하여그의 소장품를 감정하면서 원나라 경덕지 도자기에 대한 강의를 하였다.

28회 소개에서 八仙纹钵. 仿钧五管瓶.海水雲龍纹瓶은 모두 元나라 때 경덕진에서 소조한  수출용 자기다. 외화벌이 수단으로 생산된 기물이지만 황실 자기를 흉내낸 솜씨라 수준이 높다.

특히 높이 30cm의 해수운용문 長颈瓶은 우리 国博에서 보관하고 있는 신안해저 유물과 색상이나 기형이 한치의 어긋남이 없는 수작이다. 팔선(八仙) : 7~10세기 道教의 깊이를 채득하여 속세를 초월한 신선이 되었다는 8기인.

[중국의 도자 문화] EP.28 남방 청자

https://youtu.be/h0U3MbsYnlQ

청백자

청백자인 영청(影青)은 안휘성 번창 繁昌의 가가촌 柯家村에서 시작 경덕진 호전촌 湖田村에서 꽃을 피우며 점차 강서성의 抚州 백사요白舍窑.云市 남풍요南丰窑등지 에서 활발하게 생산했던 남방 백자이다. 특히 5호16국이 난립하던 시기 南唐 의 낭만군주 后主(이욱)가 번창에서 구워낸 影青을 좋아하여 남당의 官窑로 삼았다.

[중국의 도자 문화] EP.27 影青_청백자

https://youtu.be/bt1Y5lSkjw8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