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11월 26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운니동의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에서는 차과연 세 번째 차회가 열렸다. 이번 차회 참가자는 차를 사랑하는 이들이 모여 한국 차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체험하고 탐구하는 자리였다. 주제는 '동춘차 4가지와 연고백차'였으며, 회비 25만 원을 내고 참가한 이들은 차의 깊이를 느끼는 특별한 경험을 공유했다.  

네 가지 동춘차의 매력  

이번 차회에서는 2024년 4월에 채엽한 네 가지 동춘차, 즉 소성차, 대광차, 용소차, 그리고 2011년 대광차, 두 차를 조합한 용소+대광, 마지막으로 연고백차에 대한 설명과 시음이 진행되었다. 
각 차는 차를 재배하는 골짜기의 독특한 환경과 제작 방식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박동춘 교수의 설명과 함께, 참석자들은 차를 한 모금씩 음미하며 차이점을 느꼈다.  

이날 차회에는 지방에서 올라온 세 명과 서울에 거주하는 한 명, 총 네 명이 참석했다. 소규모의 차회이었지만, 참석자들 간의 대화는 깊고 따뜻했다. 차를 마시는 과정에서 참석자들은 차가 재배된 환경과 차의 특성을 들으며 자연과 사람의 손길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한 잔의 차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한국 녹차의 완성도를 느끼다  
참석자들은 각 차의 맛과 향을 비교하면서 한국 녹차의 우수성을 다시금 확인했다. 단순히 차를 마시는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지역의 자연 환경, 재배와 제작 과정, 그리고 만든 이의 정성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차회는 차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한국 차의 독창적 매력을 알리고, 차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기회가 되었다.  

이번 차과연 세 번째 차회는 참석자들에게 한국 녹차의 높은 완성도와 다양한 매력을 경험하게 한 소중한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차 문화 행사가 꾸준히 이어져, 더 많은 사람들이 한국 차의 진가를 알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https://youtube.com/shorts/2xdXMb5oVQc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초음차회

1210일 겨울 같지 않은 화사한 날씨에 일화다원 송년 차회가 열렸다. 벌써 5주년이 된 일화다원은 보기 드물게 개업 후 전국의 차인들 사이에서 빠르게 지명도를 높이면서 방문객을 늘리고 있다. 그 원동력은 무엇일까? 아마도 주인장의 품성과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빛을 발하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가끔씩 만나 차 한 잔 나누다 보면 차를 보는 눈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진다. 특히 보이차, 백차, 무이암차에서 남다른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12시에 만나 식당으로 이동하여 함께 식사를 하고 와서 대기하였다. 130분 종소리가 울리자 주인은 오늘 차회에 대한 설명을 하고 한국 녹차인 지리산 피아골 홍류동 계곡에서 자란 올해 첫물 차를 내었다. 그 다음 차는 2012년 복정 백차를 마시며 백호은침의 극품을 경험하게 하였다. 복정 백차에 대한 부연 설명이 있었다. 뒤 이어서 무이암차인 우란갱육계를 마시고, 내가 잘 아는 60년대 공첨을 마셨다.

화과자와 집에서 준비한 잣죽을 먹고 530분에 종료하였다.

차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오늘 주인인 유승완 선생이 기획하고 차를 내었다. 한국에는 현재 다양한 형식의 차회가 진행되고 있지만, 초음차회는 주인의 호를 따서 만든 차회인 만큼 세심한 준비로 한국식 차회의 한 모델을 보여주었다.

https://youtube.com/shorts/u5-Pq6GCzmg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예림서원에서 펼친 다석

1. 취지: 밀양의 역사와 전통이 깃든 고택(서원, 정자, 사찰 등)을 대상으로 고택과 함께하는 분위기 있는 차회를 통해 내부적 교육과 체험, 외부적 교류와 봉사를 통해 21세기 차문화활성화를 도모함.

2. 주요 내용: 매학기 석박사과정 전체가 함께하는 전체차회 학기별 1회이상, 각 기별로 1회이상 주위의 고택을 탐방하며, 내부 교육과 외부 봉사를 수행함.

차회를 시작하기 전, 헌다하는 모습

3. 제1회 부국차회 
- 주요내용: 석사 1, 2, 3기와 박사 1기가 총 6팀으로 나누어서 녹차팀(예림서원 구영당), 백차팀(예림서원 독서루), 청차팀(예림서원 구영당), 홍차팀(예림서원 마당), 흑차팀(예림서원 직방재), 말차팀(예림서원 돈선재)으로 예림서원에서 진행함.

홍차팀에서 내는 다석

- 차회참석인사: 외부(예림서원방문객 및 예림서원관계자, 점필재연구소 연구진 등)
내부(각 6팀의 구성원은 팽주를 바꿔가면서하고, 나머지 사람은 돌아가면서 다른 팀 차회 참석)

4. 평가: 역사자원을 활용한 분위기 있는 차회로서 참석자 모두 의미있는 차회로 평가하며, 지속적인 행사로 추진되기를 기대함.

 * 차회와 다석에 관한 내용을 관심 있게 다루는 [석우여담]이기에 첫 번째 부국 차회 내용을 이병인 교수로부터 받아 기재하였다.  - 석우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 교보문고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 - 교보문고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차’는 형설출판사에서 발행된, 일명 ‘중국차도감’으로 더 많이 알려진 책이다. 대부분 차 산지를 방문하여 그 지역의 정확한 품종을 확인한 뒤, 구입하고 원색을 살

www.kyobobook.co.kr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농차용 오모가시

일본다도는 다회를 열기 위해 하며, 다회의 목적은 일좌건립(一座建立)

일좌건립은 일체감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 준비물: 센스(인사 할 때 사용하는 도구), 가이시(과자종이), 가시키리(과자칼) 물에 적신 작은 행주, 비닐봉투

복장: 점잖은 옷, 흰 양말 / 고이차(濃茶, 진한차), 우스차(薄茶, 연한차) 말차는 차싹이 나오면 차양을 해서 키우는데

농차(고이차)는 햇볕을 철저히 차단하고, 박차(우스차)는 농차보다 덜 차단하여 키움

고이차는 3명이나 5명이 한잔을 나누어 마심 / 우스차는 1인이 한잔을 마심

(우스차 타기)

다완을 따뜻한 물로 부어 데워줌

차선을 점검

다완을 헹워서 버림

다건(차행주)으로 다완을 닦아줌

차가루(12그램)을 다완에 넣고 80cc정도의 물을 부어줌

차선으로 거품을 일으침

https://youtu.be/FR5ozs4zrMg

(차마시기)

(손님1) 차마시는 사람(손님2) (손님3)

손님2는 차를 받고

손님에게 한잔 더하시지요라고 인사하고

손님에게 먼저 마시겠습니다라고 인사를 한다

그리고 주인에게 잘 마시겠습니다라고 인사를 하고

다음으로 차에게 감사함을 표한 다음

찻잔을 시계방향으로 2번 돌려 차를 마신후

입을 대고 마셨던 부분을 엄지와 검지로 한번 닦아주고

찻잔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2번 돌려 처음 모습으로 해서 내려놓는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보이차의 세계에서 이름만으로도 경이로운 홍인을 만날 수 있다. 갑급홍인’과 무지홍인, 갑급남인, 남인철병, 광운공병, 중차패철병, 73청병, 상검8582, 연대별7542(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전시가 기획되었다.

일시: 2022 2 24~28(12~19)

장소: 명가원(서울시 종로구 윤보선길 19-18)

전화: 02-736-5705

명가원은 2018년 ~ 2019, 골동보이차 전시와 세미나, 백인 품감회를 개최한 곳이다. 보이차의 본고장인 홍콩, 대만, 중국에서, 연대별 7542를 한 번에 만날 수 없었는데, 이번 전시를 통해서 그 흐름을 알 수 있다는 것만으로 의미가 깊다. 

코로나 시대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보이차의 지나온 역사를 돌아볼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 기간내 골동보이차 차회와 품감회

골동보이차 중 가장 고가에 거래되는 1920년대 송빙호차회(토요일 18:00)와 연대별 7542를 실물을 보면서 설명을 듣고 마실 수 있는 차회(매일 1)를 진행한다.

골동보이차 차회

송빙차회 宋聘茶会

품목: 1950년대 남인철병, 1920년대 송빙호

인원: 6인이하

회비: 별도 문의

일시: 226일 토요일 18:00

(신청인 상황에 따라 차회 날자는 일요일로 변경될 수 있다)

시대별 7542 품감회

품목: 2002 7542

1997년 수람인

1980년대 7542

1970년대 73청병

인원: 선착순 4인이하

회비: 30만원

일시: 전시 기간내 매일 18:00

문의: 02-736-5705

전시 중 일부 비매품을 제외한 보이차는 구매 가능하다.

***코로나 방역수칙에 따라 차회는 6인 이하로 진행되며, 전시 방문자는 스탭의 안내에 따라 전시공간에 순차적 출입을 하게 된다.

-----

본문 기사 수정: 2022년 2월 24일: <시대별7542>는 연대별 7542로 수정합니다.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가일암 차실에서

다회와 다사는 카이세키요리가 있고 없고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다회는 우스차와 고이차를 마시고, 다인수의 손님을 초대하여 즐기는 모임이다. 그리고 다사는 카이세키요리와 함께 고이차, 우스차를 마시며, 소인수의 손님을 초대하여 즐기는 모임이다.

특히 다사의 순서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치아이(待合)라는 공간에 그날 초대받은 손님들이 모두 참석한다. 2) 주최측은 손님에게 가벼운 음료를 제공한다. 3) 손님들은 정객(한국에서는 상객)부터 말객까지 순서대로 코시카케마치아이(腰掛待合)로 가서 순서대로 앉는다

4) 주인은 손님을 맞이하러 중문까지 가서 (무카에츠케), 츠쿠바이로 안내한다 5) 손님은 정객(상객)부터 순서대로 손과 입을 헹구고 순서대로 다실로 들어간다 6) 다실에 들어와서 순서대로 도코노마와 도구 등을 배견하고 자기에 앉는다 7) 주인은 카이세키요리를 손님에게 대접한다(40분가량소요)

8) 요리를 다 먹고, 그릇 등이 모두 나가고 나면 과자가 들어온다. 9) 과자를 먹고나서 다실 밖으로 나와서 휴식을 취한다(나카다치(中立ち), 40분 전후 정도) 10) 다실이 정리되고 나면 주최측은 토라(銅鑼)를 울려 손님이 모이게 한다 11) 손님은 다시 다실로 들어와서 고이챠(濃茶)와 우스챠(薄茶)를 즐기고 파한다

youtu.be/-E5i5_NSMpE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명가원 전주 지점

보이차 전문점 명가원에서 첫 번째 대리점으로 전주지점(대표 박종관)을 오픈하였다. 오픈 기념 차회는 박종관 점장 주관으로 이날 2시와 5시 두 차례 열렸다. 2시 차회를 참관하였는데, 처음 차는 2005년 여명차창에서 생산한 숙차, 두 번째는 1998년 강성 전차를 내었다.

매장 내 차탁

참석자 대부분 10년 이상 차를 즐겨온 분들이기에 익은 차 맛에 익숙한 듯 찻자리는 시종 화기애애하였으며, 젊은 점장의 차 내는 모습에서 더욱 참신한 도약을 기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김경우 명가원 대표가 준비한 충시차(송빙호)는 최상(VF)의 깊은 맛을 보여주었다. 이날 충시차는 개업 기념 차회의 특별 보너스 격이었다.

명가원 전주지점 박종관 대표

특히 박종관 점장은 3년간 커피전문점을 운영한 경험이 있기에 보이차 전문점은 새로운 도전이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볼 때, 그의 젊은 미감이 전주에서 새로운 문화의 터를 만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실내 전시된 보이차

위치: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146-16

 

Posted by 石愚(석우)
,
반응형

히가시아베류 차기왕 다법 시연 차회

지난 23일 인사동 사거리에 있는 미술세계건물 5층 전시장에서 히가시아베류 한국 지부 조윤숙 敎授의 차회가 있었다. 이번 차회에서는 차기왕 다법으로 손님께 차를 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1, 3시 차회 가운데 1시는 취소되고, 3시 차회에 필자와 미술계 인사몇 분만 참여한 가운데 차회가 열렸다. 조윤숙 교수의 딸(오오노 아유미)과 아들(오오노 다이)이 다동(한도) 역할을 하였다. 원래는 일본에서 히가시아베류 소속 선생님이 함께 참여하여 차회를 준비하려고 했는데 코로나19 때문에 참여가 취소되었다.

차기왕 다법은 국내에서 기러기 다법으로 변형하여 발표되는 것이 있는데, 그 다법의 원조는 일본 히가시아베류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번 차회에서는 한국에서 히가시아베류 사범반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발표되었다.

히가시아베류 센차도 https://youtu.be/wyLt18_-ZN8

 

Posted by 石愚(석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