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이암차
안국동차관의 정진단 원장에게 호흡의 예술 향도 개정판 사진 촬영 문제로 방문했다. 정 원장은 차관 앞에서 눈을 치우고 있었다. 아마 이곳은 가게 주인이 사람이 지나는 길의 눈을 치워야 하는 것 같다.
조금 전 고전문화에서 마당의 눈을 그대로 두고 차 마시면서 즐기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촬영에 앞서 차를 마시는데 마침 일지암 법인 스님이 오셨다. 덕화백자에 암차를 내는데 이곳에서 늘 마시는 무이암차이건만 눈이 내린 날씨에 만나는 암차는 내 마음을 씻어내는 것 같았다.
안국동차관은 이곳만의 차 맛이 있다. 세세하게 맛을 구분해서 음미하기보다는 암차의 깊고 여린 맛, 깨끗하고 깔끔한 맛, 담백하고 농한 맛을 그때마다 즐기는 곳이다. 눈이 와서인지 법인 스님을 만나서인지 이날 고구마와 같이 마신 진하고 농한 암차의 풍미는 저녁에 고속버스로 진주에 내려가는 내내 입속에 잔향으로 남았다.
'다미향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미향담(285) 따뜻한 말차, 기운이 도는 공간 (0) | 2018.03.14 |
---|---|
다미향담(282) 봉황단총으로 만든 단총 거타차 홍차 (0) | 2017.12.30 |
다미향담(280) 눈 오는 날 만난 무이암차 백모단 (0) | 2017.12.19 |
다미향담(279) 가든오브스프링의 홍차 시럽과 유자 파운드 (0) | 2017.12.18 |
다미향담(278) 멍송 고수차와 ‘보이차고’를 만나다 (0) | 2017.12.18 |